MICRO PART 2 개념강의 LESSON 42
Shift Factor of labor demaned curve 3개 중
2번째 2) Marginal product of labor 이 잘 이해가 안됩니다.
Firm 의 labor demand에게 영향을 미치는 SHFIT요소중,
기술발전으로(예: 로봇사용) 으로 productivity 가 올라가면 labor demand 는 감소한다.
이렇게 이해하는게 맞나요?
하지만 However, history suggest that most thch progress is instead labor-augmented.
이말은 기술발전이 오히려 노동력의 demand 를 올렸다는 말인가요?
--> 안녕하세요! 학생분~ 아아~ 이 부분 헷갈린데요. 문제에서 대부분 정확하게 언급해주는데요, 문제에서 기술 개발로 labor의 productivity가 좋아졌다라고 하면, MP 증가 --> MRP증가로 가셔야 하구요.
반면 기술 개발로 labor 를 대체했다 라고 하면 마지막 shift factor인 substitute factors로 봐서, labor의 demand 감소로 가야 합니다.
However, history suggest that most thch progress is instead labor-augmented. 이 표현은 전자를 의미하는 표현으로, 기존의 대부분의 tech는 labor의 productivity 향상을 도왔다는 것입니다. 그러니 MRP증가 이지요.
화이팅하세요!
Sun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