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로 건너 뛰기 내용으로 건너 뛰기
커뮤니티 COMMUNITY
제목 [Grace Lee] AP Macro 질문
AP Macro 실전문제풀이 31
작성자 sej*** 등록일 2021-05-29 오후 11:22:02

안녕하세요 선생님,


AP Macro 실전문제풀이 31강 교재 77쪽 frq 2014 3번 b ii 에서 Demand for dollar (American products)가 increase 해서 dollar appreciate 시킨후에 export Decrease import Increase net export derease, so AD decrease, rgdp decrease 이렇게 답이 반대로 나오는데 currency exchange market 로 설명하면 안되나요?


사람들이 은행에서 돈을 뺄때 required reserve 와 excess reserve 중 어디서 돈이 빠져나오나요?


문제풀이 교재 69쪽 6번에 increase in human capital 을 SRAS increase 와 increase in investment (AD Factor)까지 같이 보면 price level 이 애매해지는데 AD는 신경쓰지 않는게 맞을까요..?


감사합니다

2021-06-03 오후 11:17:14

안녕하세요! :)

질문을 보겠습니다.

 

AP Macro 실전문제풀이 31강 교재 77쪽 frq 2014 3번 b ii 에서 Demand for dollar (American products)가 increase 해서 dollar appreciate 시킨후에 export Decrease import Increase net export derease, so AD decrease, rgdp decrease 이렇게 답이 반대로 나오는데 currency exchange market 로 설명하면 안되나요?

--> FRQ 문제 intro를 함께 볼게요.

Assume now that the inflation rate in the United States decreases relative to the inflation rate in South Korea.

그러면 US 물건 가격이 내려갔으니 한국에서 미국의 물건을 많이 export 하게 되겠지요!

 

(b) Based on the change in United States exports in part (a), answer each of the following.

(ii) What will happen to real gross domestic product in the United States in the short run? Explain.

여기 문제에서 in the short run 을 물어보았기 때문에... appreciate 된 후에 일어날 결과로 일어날 AD의 변화를 묻는것이 아닙니다..

 

Demand for dollar (American products)가 increase 해서 --> 이렇게 되는 이유는 한국에서 미국의 물건을 많이 사기때문에, 즉 US export increase 가 되기 때문이지요! 여기에서 답을 찾아야합니다!

dollar appreciate 시킨후에 --> 이 이후로 답을 찾는것이 아닙니다. ^^ 문제의 short run 때문에요!

Increase export = increase AD = GDP will increase

 

 

사람들이 은행에서 돈을 뺄때 required reserve 와 excess reserve 중 어디서 돈이 빠져나오나요?

--> 넵 당연히 excess reserve에서 돈이 빠져나온답니다!

required reserve는 은행이 required reserve ratio 만큼 항상 가지고 있어야만하는 양이기 때문입니다.

 

문제풀이 교재 69쪽 6번에 increase in human capital 을 SRAS increase 와 increase in investment (AD Factor)까지 같이 보면 price level 이 애매해지는데 AD는 신경쓰지 않는게 맞을까요..?

--> increase in human capital은 investment 를 하여 생긴 결과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SRAS increase 가 맞습니다.

production 측면에서 productivity가 커지는 것이기 때문이지요.

 

그럼 화이팅 하세요!

열공열공!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