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 ㅠㅠ 선생님 강의 문제풀이 문제 풀다가 헷갈리는 개념이 있어서 질문드려요ㅠㅠ
1. perfect competition 의 key characteristic 중에 FREE ENTRY AND EXIT 이 있는데요, 이것은 오직 long run에만 적용되는 성격인가요? 그러면 short run에는 barrier가 존재하는 것인가요? 만약 long run에만 이 성격이 적용된다면, 문제에 short run 인지 long run 인지 밝혀있지 않고, perfect competition 의 characteristic을 찾는 문제가 나왔을 때 보기에 있는 'There are barriers to enter and exit' 을 고른다면 틀린 답인가요?
--> 안녕하세요! 학생분~~ 음~~ 학생분!! 제 개념강의를 들으셨을까요?? 제가 개념강의에서 강조하면서 설명한 부분입니다! 당연히 free entry and exit은 long-run에만 성립하는 개념이지요? 왜냐하면 모든 resources를 control해야지만 회사들이 새로 시장에 들어오거나 나갈 수 있으니깐요. 즉 factory와 machine을 다 control할수 있어야 합니다. 네네~ 무조건 entry barriers가 있다는 말은 PC의 성격이 될 수없습니다.
2. Total Utility 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MU(a)/P(a)=MU(b)/P(b) 라고 이론 강의에서 배웠는데요, 그러면 maximize utility 하기 위해 만약 MU(a)/P(a) 의 값이 MU(b)/P(b)의 값보다 더 크다면 MU(a)/P(a)의 생산을 줄이고, MU(b)/P(b)의 생산은 늘리는 게 맞는 것인가요? 그러면 만약 둘의 값이 다르다면 한 제품은 same amount를 생산해야 하는 경우는 어떤 경우인가요?ㅠㅠ
--> MU(a)/P(a) 의 값이 MU(b)/P(b)의 값보다 더 크다면 --> 그럼 이말은 A제품에 1불을 지출했을때, A제품이 나한테 주는 만족감이 더 크다는 의미이므로 A제품을 더사고, B제품을 덜 사야 total utility가 증가하게 되는 것 입니다! 아아~~ 이개념은 생산 측의 분석이 아니라, 소비 쪽의 분석입니다. 소비자가 같은 금액을 지불했을때, 나에게 주는 utility가 더 큰 제품을 더 사야 TU가 증가하는 것입니다.
3. 선생님 교재 pt.2의 9쪽에 AVC<P<ATC면 KEEP PRODUCING 하고, P<AVC<ATC 면 SHUT DOWN 한다고 하셨는데요, P>AVC 인 경우에도 KEEP PRODUCING 하고, P<AVC 인 경우에는 SHUT DOWN 한다고 하셨어요. 둘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AVC만 주어졌을 때는 후자로 분석하고 ATC도 주어졌을 때는 전자로 분석하는 것인가요?
--> 음~~ 학생분ㅠㅠㅠ 제가 개념 강의에서 자세하게 설명 드린 부분을 여기에 다시 타이핑을 하는 것은 무리이구요, 강의 페이지에 해당하는 개념강의를 꼭!! 다시 돌려봐주시길 바랍니다!!
시험이 이번주인데 꼭 시험 보기 전에 해야 하는 몇 가지 주의사항들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ㅠㅠ 아! 그리고 5점 커트라인이 몇 점인지 궁금해요 이번년도에는 mcq 60문제, frg 3문제 나오는 거 맞나요?
--> 제가 궁금한 점은 위의 기본적인 개념들을 제외하고는 다른 개념들은 정리가 잘 되셨나요? 개념강의를 다 들으셨는데 기본 개념이 헷갈리신다면 급하게 마음 먹지 마시구요~ 개념교재를 처음부터 찬찬히 다 읽어주세요! 그 과정에서 놓친 부분이 있으면 해당 개념강의를 다시 돌려봐주세요. 꼭!! 그렇게 해주셔야 합니다. 아시겠지요? 그리고 문제풀이 많이 해주시구요. 온라인 시험은 time management가 아주 중요합니다. MCQ를 푸실때, 10문제를 풀때 10 분정도 걸린다 라는 마음으로 풀어주세요. 중간에 모르는 문제가 있으면, 과감하게 찍고 넘어가는 것도 방법입니다. 안 그러면 뒤에서 시간이 부족할 수있다는것 명심해주세요! 5점 컷은 MCQ FRQ 모두 80프로 이상 맞으시면 됩니다!
마무리 잘 하셔서 꼭! 좋은 결과 받아와주세요!
힘내세요!
Sun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