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질문을 볼게요.
1. chapter 8 economics growth 마지막그래프에서 investment가 증가하면, sras가 증가하고, 같이 ad도 증가하면서 결국 lras도 right shift한다고 하셧는데요,
short run에서는 그냥 sras만 증가하면서 price level decrease and RGDP가 increase하게되지만,
--> Short run 에서도 investment 는 AD, SRAS 모두를 shift 시키는 factor입니다. 그래서 investment가 증가하면 AD SRAS 둘다 오른쪽으로 커집니다.
long run에서는 LRAS가 오른쪽으로 이동하면서 price level stay the same but RGDP increase이렇게 되는건가요?
--> Long run 에서는 LRAS가 오른쪽으로 이동하면서 price level과 상관없이 Real GDP가 증가합니다.
2. owner's equity랑 demand deposit이랑 같은 뜻인가요?
아닙니다. 개념책의 7-3 Banking system 부분에서 두 단어의 definition을 다시 확인해주세요!
Demand deposits (Checking deposit) --> Money deposited in a commercial bank in checking accounts (은행의 예금)
Owner’s equity --> Money owed to the owners or shareholders of the bank (은행의 소유자본)
3. chapter 7-9 MCQ 1번 b에서, rgdp가 감소하게되면, 사람들의 income이 줄어드는거니까 money demand가 증가한다고 생각햇는데요,
--> 아니요! real GDP감소로 사람들의 income이 줄어든다면, money demand (사람들이 holding cash 하는 양) 는 당연히 줄어들어야 합니다.
price level이 증가하고, income이 증가하면 money demand가 커지고, 반대고 income이 감소하거나 price level 이 줄어들면, money demand가 감소하는건가요?
--> 네 이것이 맞습니다.
4.지금 복습하고 잇는데 강의를 다 들엇지만, 제가 수강기간이 몇일 전에 끝나버려서요.. 강의를 다시 보지는 못하고잇는데요. 마지막 chapter 9 exchange rate파트에서 제가 놓친 부분이 잇는것같습니다. (4) interest rate부분에서요, investors wnat higher profit from interest rate~ 이 부분에서요,
혹시 이 부분에서 =이 부분에 어떤 내용을 써야 할까요?
--> international investors 에게는 high interest rate는 "higher profit" 입니다.
interest rate가 증가햇을떼 money가 inflow한다는 말이 capital inflow인가요 --> 네
--> 돈의 흐름이기 때문에, 그 나라로 inflow가 증가한다는 것은 capital inflow 입니다.
만약, japanese investor가 samsung의 주식을 삿다면, 한국에서는 capital inflow인건가요?
--> 네 맞습니다.
5. 2 producer가 good A와 B를 produce하고 한 producer가 A에 comparative advantage가 잇다면, 다른 producer는 항상 자동으로 B에 comparative advantage가 잇는건가요?
--> 네 맞습니다. good A 의 opportunity cost가 낮아 good A에 대한 comparative advantage를 가져간다면 good B의 comparative advantage는 상대국가에게 갑니다.
상대적인한 producer가 두 goods 모두에 comparative advatnage를 가지고 잇는 경우는 있을 수 없는거죠?
--> 네 맞습니다.
그럼 열공하세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