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하나씩 천천히 볼게요!
1) 식물세포를 얘기하면서 굳이 mesophyll cell 이라고 콕 찝어 부르는 이유는
plant cell 중에서 광합성을 할 수 있는 세포를 얘기하고 싶어서 그래요.
mesophyll layer는 잎사귀에서 발견되고, 가장 광합성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층인데
거기에서 존재하는 세포들을 mesophyll cell 이라고 부르죠.
학교에서 cell structure labelling 하는 문제를 내고 싶은데
식물세포만의 특징인 chloroplast가 잘 보이는 세포문제를 내기 위해선
광합성이 가장 활발히 일어나는 plant cell, 즉 mesophyll cell을 언급하게 되는거죠.
문제는, mesophyll cell들은 광합성에 특화되어 있는 세포이다 보니
광합성에 필요한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
또 광합성으로 만든 영양분들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들이 유난히 잘 발달되어 있어요.
그래서 central vacuole을 보면 세포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할 정도로 굉장히 커요.
일반적인 식물세포의 도형은 이런 특별한 세포가 아니라
평균적인 식물 세포들을 가장 잘 나타내는.. 조금 "무난한" 세포 도형이다 보니
이게 학생이 볼때 차이가 있다고 느낄 수 있어요.
2) exocrine gland cells와 acinar cells는 근본적으로 같은 종류의 세포를 설명하는 용어인데
기능을 설명하는지, 형태를 설명하는지의 차이라고 보면 될거 같아요.
exocrine gland implies an excretion of a substance outside.
밖으로 무언가를 분비하는, 외분비 기능을 설명하는 말이고
acini는 라틴어로 "berry" 라는 뜻으로,
외분비 세포들이 동그랗게 모여있는 그 형태를 설명하는 말이에요.
근본적으로 두 표현 모두 같은 세포를 묘사하기 때문에
학교 선생님이 그 둘이 같은거라고 설명하시는거에요.
acinar/exocrine gland cell의 micrograph를 볼때는
강조되는 부분이 "무언가를 밖으로 분비하는 세포"이기 때문에
1) 동그라미 형태로 모여서, 어떠한 길다란 관으로 분비되는 형태를 보고
2) 개별적인 세포 내에선 enzyme을 많이 만드는 endoplasmic reticulum이 강조된 걸 확인하면 돼요.
cell micrograph라는건 모든 세포가 다 정확히 똑같진 않고
어떻게 sample을 prepare했는지에 따라 결과가 조금씩 차이가 나다보니
어느 정도는 같은 세포라도 조금씩 다르게 보일 수 있다는걸 이해해야해요.
물론 학생들의 입장에선 엄청 짜증나겠지만요 ㅋㅋ
도움이 됐나요?
organelle labelling 연습을 조금 더 하고 싶으면
https://ib.bioninja.com.au/standard-level/topic-1-cell-biology/12-ultrastructure-of-cells/cell-micrographs.html
여기에 가보면 몇개 더 있을거에요.
열공하시고 혹시 또 질문이 생기면 게시판에서 만나요!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