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로 건너 뛰기 내용으로 건너 뛰기
커뮤니티 COMMUNITY
제목 [Roy Lee] IB Biology 공통 SL.HL Part 2.
IB Biology 공통 SL.HL Part 2, Genes 2 2
작성자 min*** 등록일 2021-05-11 오전 1:05:24

안녕하세요 선생님, 제가 mutation의 definition에 관해서 질문이 있어서 글 남겨봅니다.

제가 따로 공부하고 있는 Bioninja라는 사이트에선 Mutation이 'Change in the nucloetide sequence of a section of DNA'라고하고 학교선생님께선 'Change in the DNA base sequence'라고 하는데 저 두 definition들의 차이가 이해가 잘 안됩니다. 제 생각에는 mutation의 definition을 'Change in the DNA base sequence'라고 했을 때 더 명확한 것 같은데, 'change in the DNA nucleotide sequence'라고 하는건 base가 nucleotide의 구성성분이기 때문에 좀 더 포괄적으로 얘기하는 차원에서 저렇게 얘기하는건지 궁금합니다. 


아 그리고 DNA base sequence는 DNA sense strand와 DNA antisense strand 둘다를 의미하는건지도 궁금합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2021-05-12 오후 1:19:13

안녕하세요!

 

네, change in nucleotide sequence나 change in base sequence나 둘다 똑같은 말이에요.

아마 학생이 혼돈을 느끼는 부분이 nucleotide라는 단어 때문인것 같은데

2.6 DNA structure에서 말했다시피

a nucleotide (the monomer of DNA) is made up of 3 parts

1. 5C sugar  2. phosphate group  3. nitrogenous base

 

모든 nucleotide는 종류와 상관없이 1,2번은 똑같고,

ATCG가 차이나는 부분이 3번 nitrogenous base 이죠?

이걸 줄여서 (nitrogenous) base 라고 부를때가 많아요.

결국 changes in nucleotide sequence나, nitrogenous base sequence나 같은 말이에요.

 

DNA base sequence는 통상적으로 단백질을 만들때 활용되는 sequence를 말하고 있고,

이때 굳이 sense / antisense 로 구분하는 경우는 거의 없어요.

이 두 strand는 대부분 base pair가 complementary 하다보니,

하나를 알면, 반대쪽 sequence를 자연스럽게 알 수 있어서

딱히 구분없이 같이 묶어서 생각하는 경우가 더 많아요.

 

 

열공하시고 혹시 또 질문이 생기면 게시판에서 만나요! :D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