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네, change in nucleotide sequence나 change in base sequence나 둘다 똑같은 말이에요.
아마 학생이 혼돈을 느끼는 부분이 nucleotide라는 단어 때문인것 같은데
2.6 DNA structure에서 말했다시피
a nucleotide (the monomer of DNA) is made up of 3 parts
1. 5C sugar 2. phosphate group 3. nitrogenous base
모든 nucleotide는 종류와 상관없이 1,2번은 똑같고,
ATCG가 차이나는 부분이 3번 nitrogenous base 이죠?
이걸 줄여서 (nitrogenous) base 라고 부를때가 많아요.
결국 changes in nucleotide sequence나, nitrogenous base sequence나 같은 말이에요.
DNA base sequence는 통상적으로 단백질을 만들때 활용되는 sequence를 말하고 있고,
이때 굳이 sense / antisense 로 구분하는 경우는 거의 없어요.
이 두 strand는 대부분 base pair가 complementary 하다보니,
하나를 알면, 반대쪽 sequence를 자연스럽게 알 수 있어서
딱히 구분없이 같이 묶어서 생각하는 경우가 더 많아요.
열공하시고 혹시 또 질문이 생기면 게시판에서 만나요!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