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질의 특성에 대한 부분은 안타깝지만 외우셔야 합니다. 어떤 물질이 acid인지 base인지, 이들이 만나서 이루어지는 neutralization 반응은 어떻게 일어나는지 추론하는 것이 아니고 현상이기 때문에 알아두셔야 하는 것입니다. 어떤 이온이 만나면 precipitation이 되는지 역시 알아두셔야 합니다. precipitation과 관련하여 흔히들 solubility rule이라고는 하지만 일반적인 과학 법칙이 아닌 현상을 정리한 것이 지나지 않습니다.
net ionic equation을 작성하려면 1) 물질이 물에서 이온화(ionization)되는 형태를 알아두셔야 하고 2) 이들 이온 중 어떠한 이온이 만나면 어떤 물질이 만들어지는지, precipitation이 되는지 그렇지 않고 spectator인지 알아두셔야 합니다.
그런데 우리 시험에서는 주로 반응식에서 이를 알 수 있게 줍니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은 반응입니다.
NaCl(aq) + AgNO3(aq) → NaNO3(aq) + AgCl(s)
이 반응에서 NaCl, AgNO3, NaNO3, AgCl은 모두 ionic compound입니다. (aq)는 이들 물질이 물에서 일어나는 반응임을 알려준 것이며 특히 ionic compound를 (aq)로 표현한다는 것은 물에서 ionization이 된다는 의미로 NaCl(aq)는 실제 물에서는 Na+(aq), Cl-(aq)로 있다는 의미입니다. 마찬가지로 AgNO3(aq)는 물에서 Ag+(aq), NO3-(aq)로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이들이 서로 반응하여 NaNO3(aq)로 표현되므로 여전히 Na+(aq), NO3-(aq)로 존재한다는 의미입니다. 이러한 ion을 spectator ion이라고 합니다. AgCl(s)의 경우 반응 전에는 각각 Ag+(aq), Cl-(aq)로 존재하고 있었는데 반응 후 AgCl(s)로 물에서 이온화가 잘 되지 않고 가라앉는 precipitation이라는 의미입니다. 이 때 Ag+(aq)와 Cl-(aq)을 net ion이라고 하고 이 이온만으로 표현한 반응식을 net ionic equation이라고 합니다.
Ag+(aq)+Cl-(aq)→AgCl(s) : net ionic equation
참고로 solubility rule과 관련된 표를 함께 안내해드립니다. (암기하면 알고 안하면 모르는 매우 단순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