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로 건너 뛰기 내용으로 건너 뛰기
커뮤니티 COMMUNITY
제목 [Sunny Kim] 수업내용 중 질문
AP Microeconomics 개념강의 Part. 1 12
작성자 kee*** 등록일 2021-04-05 오후 10:57:06

안녕하세요 선생님 다름이 아니라 Lesson 12에서 잘 이해가 가지 않는 내용이 있는데요. 


Open economy에서 international trade가 일어나고 있을때, 즉 After Trade에서 Producer Surplus가 그래프 상에서 BCD라고 해주셨는데요, 


원래 Producer surplus = Total revenue - Total cost 이니 이때 Total revenue가 바로 사진에서 형광펜으로 칠한 부분이 된다는 이야기일텐데 이때 revenue를 정하는 quantity가 Qd가 되지 않고 Qs가 되는 이유는 뭔가요? firms의 입장에서 공급하는 양이 소비자들의 수요량보다 높아도 수익은 공급하는 수준까지 들어온다는 이야기인가요? 그렇다면 surplus의 유무에 관계없이 firms의 revenue는 항상 P x Qs가 되는건가요? 이게 어떻게 성립할 수 있는건지 궁금해요.

2021-04-07 오후 2:23:38

안녕하세요 선생님 다름이 아니라 Lesson 12에서 잘 이해가 가지 않는 내용이 있는데요. 


Open economy에서 international trade가 일어나고 있을때, 즉 After Trade에서 Producer Surplus가 그래프 상에서 BCD라고 해주셨는데요, 


원래 Producer surplus = Total revenue - Total cost 이니 이때 Total revenue가 바로 사진에서 형광펜으로 칠한 부분이 된다는 이야기일텐데 이때 revenue를 정하는 quantity가 Qd가 되지 않고 Qs가 되는 이유는 뭔가요? firms의 입장에서 공급하는 양이 소비자들의 수요량보다 높아도 수익은 공급하는 수준까지 들어온다는 이야기인가요? 그렇다면 surplus의 유무에 관계없이 firms의 revenue는 항상 P x Qs가 되는건가요? 이게 어떻게 성립할 수 있는건지 궁금해요

.

--> 안녕하세요! 학생분~~ 반갑습니다. 네네~~ 좋은 어프로치 이구요. 근데 강의에서 Qd와 Qs의 사이부분, 즉 surplus부분을 export 한다고 하였지요? 그래서 TR이 학생분이 말씀하신 노란색이 되는 것 입니다. 즉, 해외에서도 가져다 팔수 있으니 당연히 TR에 포함되는 것입니다. 즉, Qsold가 Qsupplied가 되는 것입니다.

 

그럼 궁금증이 해결되나요?

진도 쭉쭉 나가주세요!

 

Sunny~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