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로 건너 뛰기 내용으로 건너 뛰기
커뮤니티 COMMUNITY
제목 [Caits Lee] AP Bio 질문
AP Bio FRQ 20
작성자 sej*** 등록일 2021-04-03 오후 7:01:48

안녕하세요 선생님,


2016 2번 c frq 답을 

Nutrient II is the preferred nutrient source. From the graph, using I increases the population density by about 10^5 cells/mL when using II leads to about 10^8 - 10^5 cells/mL increase. There’s much more increase using nutrient II, indicating a greater preference for nutrient II.

라고 쓰는건 오답인가요? Preference 는 어떤 resource 를 “먼저” 사용하는지에 대한게 더 중요한건지 궁금합니다.


2번 d 에 two reasons 답을 This may be because it takes time to find another medium of growth, in this case, nutrient II. Or, it could be that bacteria has to disperse during this time to reproduce again due to limiting space. 라고 써도 될까요?


감사합니다

2021-04-06 오후 1:13:14

 

 

안녕하세요 

 

2016 2번 c frq 답을 

Nutrient II is the preferred nutrient source. From the graph, using I increases the population density by about 10^5 cells/mL when using II leads to about 10^8 - 10^5 cells/mL increase. There’s much more increase using nutrient II, indicating a greater preference for nutrient II.

라고 쓰는건 오답인가요? Preference 는 어떤 resource 를 “먼저” 사용하는지에 대한게 더 중요한건지 궁금합니다. --> 예 오답입니다 ㅠ 무엇이 더 "efficeint " ( nutrient의 단위 그램수 당 growth rate 에 기여하는 정도) 한가에 대한 질문이었다면 학생의 답이 맞겠지만..  맞습니다. preference 은 "먼저" 무엇을 샤용하는가의 문제에요

 

2번 d 에 two reasons 답을 This may be because it takes time to find another medium of growth, in this case, nutrient II. Or, it could be that bacteria has to disperse during this time to reproduce again due to limiting space. 라고 써도 될까요?

--> 문제를 읽어보면, 

이렇게 되어있어요.  

 

 

 

그럼 학생의 첫번째 문장, 

 This may be because it takes time to find another medium of growth, in this case, nutrient II  은 틀렸어요  .medium = nutrient 이 아니고 학생이  medium의 뜻을 잘 몰라서 오류가 생긴거 같습니다. 

Culture medium or growth medium is a liquid or gel designed to support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같은 미디엄 안에 두가지의 서로 다르 nutrient 을 넣어서 실험한것이기에, 다른 미디엄을 찾느라 시간이 걸렸다. 점수 받을수  없습니다. 

 it could be that bacteria has to disperse during this time to reproduce again due to limiting space. --> 리밋티드 스페이스에 있다면, carrying capacity를 넘어버리면 죽기 시작하여 수가 줄어들거에요. 리미티드 스페이스를 넘어서 다른 곳으로 disperse될수 없습니다 limited factor 가 space 가 아니라 nutreint 1 을 다 썼다는 사실. 그 자체가 리미팅 팩터라는것을 눈치챘어야 합니다. 왜? 그래프를 잘 보세요. nutrinet 1이 다 없어진 순간부터 lag phase ( 5~6hr) 가 왔고, nutrient 6 을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부터 그 lag phase 가 풀렸자나요? 그래서 nutrinet1 을 다 쓰고 nutrinet 2를 사용하는 enzyme 을 만들기까지 시간이 걸린다 ( gene expression) 라는 언급을 했어야 합니다. 이 문제는 그것을 묻는 문제입니다. 아래는 chief ( 채점 선생님들의 책임자 . 매해 cheif 는 다름) 의 comment 입니다. 칼리지 보드에 가시면 치프 코멘트를 찾아볼수 잇어요. 

감사합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