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로 건너 뛰기 내용으로 건너 뛰기
커뮤니티 COMMUNITY
제목 [Ki Young Song] Test prep SAQs 점수확인
New AP World History: Modern TestPrep(21강 완성) 4
작성자 cat*** 등록일 2021-04-02 오후 2:25:58

선생님 안녕하세요 Test Prep SAQ 1번 a) c)번을 써봤는데 확인 부탁드립니다 ^^ 부족한 부분이 있으면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a) Identify ONE specific historical example of a cultural exchange between nomads and non-nomads that occurred in the period before 1450.

Starting from the Song Dynasty, the Chinese used gunpowder weapons in the period before 1450, and as the Mongols started to expand their territory farther into Central Asia and even main Chinese territory, such Chinese cultural inventions spread into the Central Asian territory, such as the Ottoman Empire, including Chinese magnetic compass. 


     c) Explain ONE cross-cultural exchange that would challenge the assertion in the last sentence of the passage concerning the nomads' role in cross-regional exchanged before 1450. 

Although it is true that Central Asian nomads played a vital role in facilitating the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West and East, the spread of the Bubonic Plague during the period before 1450 directly contributed to the population decrease in the Eurasian continent, reducing the extent of the cross-regional exchange and contact. As the Mongols expanded their empire massively via military might and political means, the spread of the Plague from China to the most of the continent was inevitable. 

B) For the period 1450-1750 C.E., identify ONE development that changed the role that Central Asian nomads played in cross-regional exchanged as described in the passage.

B)번은 '유럽 열강들이 overseas exploration을 통해 지리적 이점을 차지한 것에 비해서 Gunpowder empires는 상대적으로 약해졌다' 라는 내용 외에는 뭐가 있을까요? 


그리고

4.

B) Explain ONE way that, despite economic change, traditional elites remained powerful in the period 1750-1900

이 문제에서는 러시아에서는 산업혁명이 진행됨으로 인해 새로운 사회적 계층이 상대적인 사회적 지위를 얻게 되었으나 차르 니콜라스 2세와 그의 가족이 19세기 후반까지 막강한 권력을 가졌었다..이런걸 써도 점수를 받을 수 있을까요? 


2021-04-02 오후 9:02:45

 열심히 공부하는 모습에 응원을 보냅니다~^^

 

1-a) 좋아요, 문제 없습니다.

1-b) 대서양 무역이 대두되면서 실크로드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아졌다는 것이 아무래도 가장 확실한 답이겠습니다. (몽골은 정체성이 흐려졌고, 투르크나 기타 Gunpowder Empires 들은 여전히 강했지만 무역과 교류의 축이 이동한 영향..)

1-c) 문제를 잘못 이해하셨네요. 지문의 마지막 문장은 문명 교류에 있어서 유목민들의 역할이 매우 컸다는 것이지, 그 교류의 결과가 항상 긍정적이었다는 내용은 아닙니다.

But, as we have seen, pastoral nomads were the chief initiators, promoters, and agents of this exchange between East and  West [in the thirteenth and fourteenth centuries]

그런 의미에서 보면 몽골이 흑사병을 유럽으로 옮겼다는 것이 오히려 전염병의 교류에서도 역시 유목민들의 역할이 컸다는 뜻으로 생각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문제에 대한 적절한 답변이 아닌 것 같습니다.

 

4-b) 나쁘지 않습니다. 그런데 러시아의 경우 이 시기동안 제대로 산업화가 이루어졌다고 보기 어려운 측면이 있어요. 그런 면에서 러시아에만 집중하기보다는, "산업화로 인해 Bourgeoise (capitalist) 들이 새로운 엘리트 계층으로 성장했으나, 러시아의 니콜라스 2세 사례에서 보듯이 대부분의 국가에서 군주제가 여전히 유지되었고 귀족계층에서도 산업회에 능동적으로 적응해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런 식으로 일반적인 경향을 서술하는 것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