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로 건너 뛰기 내용으로 건너 뛰기
커뮤니티 COMMUNITY
제목 [Ki Young Song] AP WORLD HISTORY
13 Lesson_13_Unit 5,6 1750C.E. ~ 1900C.E.__13 13
작성자 cha*** 등록일 2021-03-26 오후 10:28:33

안녕하세요!

13 Lesson_13_Unit 5,6 1750C.E. ~ 1900C.E.__13에서 communism (marxism) 설명하실때 더 큰 pie를 만들기 위해 acient slavery 에서 feudal serfdom에 가고 이런식이라고 하셨는데, 정확히 pie가 커진다는게 무슨 뜻인가요? 인구가 증가해서 생산량을 늘려야한다는 뜻인가요?


감사합니다.

2021-03-26 오후 11:24:00

파이는 생산을 비유한 것입니다. 인구가 늘면서 생산량이 늘어나기도 하고, 생산이 늘어나기 때문에 그만큼 더 많은 인구를 부양할 수 있게 됩니다.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 인류의 역사는 꾸준히 인구가 늘고 생산량이 늘어온 과정이었다고 할 수 있어요.

 

작은 파이는 생산량이 적은 경우를 말합니다. 이 때는 적은 수의 사람들이 원시적인 도구로도 대충 파이를 만들 수 있었습니다. -> ancient slavery

중간 크기 파이는 생산량이 좀 많아진 시기입니다. 비교적 많은 사람들을 효과적으로 움직여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 feudal serfdom

초대형 파이는 생산량이 그만큼 늘어난 경우. 엄청나게 많은 사람들을 조직적으로 콘트롤해야 재료 생산부터 대형 오븐까지 제작/사용까지 가능합니다. -> modern capitalism

 

마르크스는 인류의 역사를 물질적인 차원에서 연구했습니다. 여기서 물질이란 곧 생산되는 재화(농업사회는 식량, 산업사회는 공산품)의 양을 뜻하는데요. 바로 이 재화의 생산량(production)이 늘어남에 따라 그에 적합한 생산 양식 (mode of production)도 바뀌어 가고 이것이 곧 그 사회의 정치체제, 사회문화적 특징을 결정한다고 보았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