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로 건너 뛰기 내용으로 건너 뛰기
커뮤니티 COMMUNITY
제목 [Kelda Park] AP Chemistry FRQ Lesson 11 Acid and Bases (2) Further Work
Acids and Bases (2) 2007B #5 5. (c) 11
작성자 Sal*** 등록일 2021-03-14 오후 4:57:29

첫번째 문단에서 ka 이용하여 도출한 식 까지는 이해가 되나 그이후에 2번째 문단에서 buffer 1 과 buffer 2 가 다르다는게 이해가 되지않습니다. 

도와주세요 ㅠㅠ

2021-03-16 오후 7:47:09

 

안녕하세요 이 문제 이야기 하는거지요 

buffer 1, buffer 2 는 Ka 를 이용해 도출했다는게 무슨 뜻인지 정확히 모르겠으나 ^^ 

pH of buffer 는 Handerson-Hasselbalch equation 을 이용하면 

concentration of weak acid and conjugate base 숫자가 달라도 ratio 가 같으면 같은 pH 가 나올수 있다 

예를 들어 

[HC2H3O2] = 2.0 M, [C2H3O2-]= 3.0 M 인 경우와 

 [HC2H3O2] = 0.20 M, [C2H3O2-]= 0.30 M 인 경우를 비교해보면 

concentration 은 다르지만 

ratio 가 같기 때문에 공식에 넣으면 pH 가 같게 나오죠 

 

그래서 pH of buffer is determined by the ratio of weak acid to conjugate base 라고 합니다 

그러나 buffer capacity 는 말 그대로 buffer 의 양이 많아야 - 보통은 concentration이 진해야 - pH 가 잘 안바뀌게 되어요 

 

그래서 샘이 위에 쓴 경우중 concentration 이 더 진한 경우가 buffer 2 처럼 pH change 를 조금만 하는 경우 

즉 greater buffer capacity 라고도 하고 

more resistant to the change in pH 라고 합니다 

 

아무리 buffer 라도 너무 moles 가 조금 들어있으면 pH change 를 잘 resist 하기 힘들어요 :) 

 

pH of buffer 와 

buffer capacity 를 잘 구별해주세요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