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로 건너 뛰기 내용으로 건너 뛰기
커뮤니티 COMMUNITY
제목 [Kelda Park] Using more water when calculating molar mass
Kelda's All about AP Chemistry 개념리뷰_FRQ Chapter별 해설강의 (22강 완성) 19
작성자 gjw*** 등록일 2021-03-15 오전 12:52:13

안녕하세요 선생님,


Laboratory 부분을 풀다가 헷갈리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2004B #5 FRQ에서, g) 문제 질문인데요, 답이 no effect when putting water in because mole of NaOH and acid is still constant라고 하셨습니다, 


하지만 mole이 constant여도 water가 extra로 들어가면 overall mass가 increase하여 molar mass가 increase하지는 않을까요? 

Laboratory 2부분 2007 #5의 e) 부분처럼요.


항상 좋은 답변 감사드립니다.

2021-03-16 오후 7:51:20

안녕하세요 

우선 2004B의 5번에서는 

물이 더 들어가도 

flask 안에 들어있는 moles of acid that react with NaOH 는 그대로입니다 

그쵸? 

그래서 물은 분명 들어갔지만 

그 속에 acid 의 양은 그대로이기 때문에 

 

그것을 neutralize 하기 위해 들어가게 되는 NaOH 도 똑같이 필요할겁니다 

 

그러면 NaOH delivered 가 같게 되니 

우리는 initial buret reading, final buret reading 을 measure 하고 

NaOH delivery 를 계산하는 것인데 

같은 양의 NaOH volume 이 들어가고 

molarity 는 미리 아는 상태일테니 

 

moles of NaOH 는 동일하고 

mass of HA solid 나누기 moles of NaOH (moles of HA 랑 같으니까) 를 할텐데 

mass 를 미리 잰 상태이기 때문에 (녹이는 과정에서 물이 더 들어간거지, 물을 포함한 상태의 mass 를 잰게 아님) 

 

mass 도 그대로 moles 도 그대로라서 

molar mass 에는 영향이 없습니다 :) 

 

이 랩의 titrant 는 NaOH 입니다 

NaOH 가 실수로 -어떤 이유로든 더 들어간다면 - moles of NaOH delivered 가 달라지니 그건 에러가 생기겠죠 

 

학생이 물어본 2007년 5번의 문제는 그렇게 titrant 자체가 더 많이 add 된 경우를 말하므로 

상황이 다릅니다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