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로 건너 뛰기 내용으로 건너 뛰기
커뮤니티 COMMUNITY
제목 [Kelda Park] Neutualization 질문
Kelda's All about AP Chemistry 개념리뷰_FRQ Chapter별 해설강의 (22강 완성) 12
작성자 gjw*** 등록일 2021-03-08 오전 12:37:40

안녕하세요 선생님,


FRQ 2011 #2를 풀다가 헷갈리는 부분이있어서 질문드립니다.


Neuturalization을 할 떄, SA + SB -> H2O + salf라고 개념시간에 배웠는데요, 해당 FRQ의 d-i)에선 NH3 + HCl -> NH4Cl이 neutralization인데 H2O가 생기지 않아서 질문드립니다. 


문제를 여러개 풀다보니까 H20같은 경우는 항상 form하지는 않더라고요. 근데 여기에 확실한 기준이있으면 문제를 풀때 접근을 더 정확하게 할 수 있을것같아서 여쭤봅니다.


또한, neutualization 문제일때는 moles를 쓰고, equilibrium일때는 molarity를 쓰는것은 이제 익숙해져서 알고있는데요, 이렇게 풀어야된다는 것만 알았지 왜 이렇게 풀어야하는지는 모르고있었습니다. 이 부분은 왜 그런건가요?


다소 이상한 질문들이지만 답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021-03-09 오후 6:46:19

안녕하세요 

켈다샘입니다 

이부분을 학생들이 가장 헷갈려하는데요 ^^ 

NH3 가 물에 녹은 것이 NH4OH 나 마찬가지입니다 

 

NH3 + H2O -> NH4+ + OH- 라고 쓰지만 

결국 NH3(aq) 를 NH4OH(aq) 라고 써도 동일한 뜻입니다 

 

그래서 NH3 + HCl --> NH4Cl이라고 쓰는 경우나

NH4OH + HCl --> NH4Cl + H2O 라고 쓰는 경우가 의미가 같습니다 

NH4OH 처럼 formula 에 OH- 

가 있어야 product 에 water 가 나올수 있는 것이구요 

 

SA + SB --> H2O + salt 는 맞고 

모든 strong bases 는 NaOH 처럼 OH- part 가 들어있습니다 

(물론 OH- 가 들어있다고 다 strong base 인 것은 아닙니다. Mg(OH)2 도 weak base 이고 NH4OH 도 여전히 weak base 입니다. 그러나 모든 strong base 는 OH- ion 을 갖고 있습니다) 

 

그래서 strong base 의 경우 학생이 말한 식처럼 쓸수 있는데 

NH3 는 weak base 입니다 ^^ 

 

 

무튼 위에서 말한 것처럼 두가지 다른 version 의 equation 으로 쓸수있다는 점

그리고 기본적으로 acid base reaction 은 proton transfer 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점을 이해하시면 됩니다 ^^ 

 

-----------

 

그리고 원래 equilibrium chapter 를 배우기 전에는? 

항상 stoichiometry 에서 moles 로만 문제를 풀었었지요? 

moles 라는 것이 actual amount 로서 chemistry 의 기본 계산들은 moles 로 푸는 것이 원래 맞습니다 

특히 neutralization 도 Limiting reactant 

가 다 없어질때까지 reaction 을 하는 - reaction that runs to completion - 입니다 

그러므로 moles 로 문제를 풀어야 합니다 (actual amount 가 얼마있는지 중요하고 molarity 는 amount 가 아닌 말 그대로 concentration, 농도니까요) 

 

그런데 equilibrium 도 사실은 moles 로 풀수는 있답니다 

그리고 나중에 Keq 에 대입하기 전에 molarity 로 바꿔서 plug in 하면 되는데 그렇게 할때 많은 친구들이 실수를 하기 때문에 

typical 하게 다 Molarity 로 항상 풀어라 무조건 - equilibrium chapter 에서는 - 그렇게 하는 것이 약속 처럼 되어 있습니다. 

moles 로 풀고 마지막에 molarity 로 바꾸어서 equilibrium costant expression 에 plug in 해도 되지만 

 

그러나 equilibrium costant expression 에 어차피 concentration 을 쓸 것이기 때문에 

molarity 로 풀기로 했습니다_편의상 그렇습니다 

^^ 

 

이상한 질문은 아니고 ㅎ 궁금할 수 있죠! 

열공하세요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