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로 건너 뛰기 내용으로 건너 뛰기
커뮤니티 COMMUNITY
제목 [Roy Lee] chemical weathering 질문
Roy 선생님의 NEW AP Environmental Science 개념정리 Part.1 (23강 완성 2
작성자 kim*** 등록일 2021-03-03 오후 2:50:52
강의에서 chemical weathering 이 화학적인 반응으로 생기는 weathering이라고 하셨는데 그럼 fossil fuel combustion&acid rain으로 인해 일어나는  weathering도 chemical weathering 인가요? 혹시 fossil fuel combustion&acid rain가 chem weathering이 아니라면 다른 예시를 알려주실 수 있으신가요?:)
2021-03-03 오후 9:52:30

안녕하세요!

 

음.. 잠깐 대기층에 있는 CO2에 대해서 생각 좀 해볼고 갈께요.

지구 초창기 시절부터 대기층에는 이산화탄소가 항상 존재했었고

비가 내릴때마다 물과 결합을 해서 H2CO3 탄산을 만들어왔기 때문에

원래 비는 자연스럽게 약간의 산성을 띄는게 특징이에요. (pH 5.5 정도)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일반적으로 비가 내려서 생기는 weathering process에 대해선

자연스러운 비의 산성도 때문에 부식되는 부분은 크게 부각하지 않고

오히려 온도차에 의해 얼고 녹고를 반복하면서 생기는 mechanical (physical) weathering에 대해 

더 많이 언급하는 편이죠.

 

만약 일반적인 비가 아니라 "acid rain"이라고 강조할 정도의 산성이 되기 위해선

탄산에 의한 자연스러운 pH 5.5보다 훨씬 심한 

pH 4.0 수준이 되어야 "acid precipitation" 이라고 말을 할 수 있고,

이는 coal burning 통해서 sulfur dioxide, nitrogen oxides 들이 대기층의 물과 섞이면서 생길 수 있죠.

 

그리고 만약 그 정도의 acidity 때문에 weathering이 일어났다면

그건 acid rain에 의해 chemical weathering이 일어났다 라고 말하는건 맞는 말이에요!

 

 

도움이 됐나요?

열공하시고 혹시 또 질문이 생기면 게시판에서 만나요! :D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