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로 건너 뛰기 내용으로 건너 뛰기
커뮤니티 COMMUNITY
제목 [Dani Kim] AP Chemistry 질문
Complete AP Chemistry, Unit 4 Chemical Reaction pt.5 25
작성자 tur*** 등록일 2021-03-02 오후 5:38:49

선생님 안녕하세요! 제가 문제를 풀어보다 궁금한 점이 몇 가지 있어서 질문을 남깁니다.

<문제 6번>

1. 2H2O가 5 mol인 이유가 이해가 안 갑니다. 1:2니까 그런 것인가요? 

2. CH4가 limitied reagent인 이유는 다른 reactant가 excess reagent라서 그런 것인가요?


<문제 7번>

FeCl3 mole 수가 사용된 만큼 FEOH3의 mole수가 만들어진다는 것이 정확히 어떤 뜻인가요?


<문제 8번>

HCl의 mole 수와 NaOH의 mole 수가 왜 1:1이 되어야 하는 것인가요?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첨부파일 KakaoTalk_20210302_153627344.jpg
첨부파일 KakaoTalk_20210302_153626095.jpg
2021-03-02 오후 10:43:04

안녕하세요 학생! ^ ^

 

우선 학생 질문의 내용들을 쭉 보니까

Word problem으로 나온 것을 balanced chemical equation 으로 만드는 부분이 아직 조금 약한 것 같네요.

이 부분을 신경써서 공부하는게 필요할 것 같습니다. 

 

<문제 6번>

Complete combustion of methane 에 대한 내용인데, 

methane과 같은 hydrocarbon(CxHy)들의 complete combustion 과정은 항상 정해진 룰에 따라 equation을 세우면 됩니다.

reactant에 O2를 넣고, product에 CO2, H2O 를 넣으면 되구요

마지막에 양쪽 비교해서 balancing을 해주면 됩니다, 강의에서도 이런 류의 반응이 여러번 나오고, 그때마다 설명을 더 할거에요.

이렇게 해놓고 시작하면 그림과 같이 H2O가 CH4의 두배가 나옵니다. 즉 

1. 맞습니다. 1:2니까 5mol이 되구요.

2. 맞습니다. Complete combustion 이라는 것 자체가 enough oxygen 조건에서 combustion이 일어나는 것이라는 것을 강의에서 얘기했을거에요? 즉, 산소가 충~분한 상태에서 일어나는 반응이므로  이 반응은 O2가 excess reagent, 그러니까 CH4는 자동으로 limiting reagent 가 됩니다. 

 

<문제 7번>

이 문제도 첨부한 그림과 같이 먼저 balanced chemical equation을 쓰고 나면, 

FeCl3가 coefficient 1로 reactant side에 있고, Fe(OH)3가 coefficient 1로 product side 에 있습니다. 

이와 같이 표현되는 식 자체가 의미하는 것이 바로 

"1 mol의 FeCl3가 반응에 사용되면서 1mol의 Fe(OH)3를 만들어낸다" 

라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1mol 씩이 아니라 n mol 로 바꾸어도 같은 양만큼 사용되고, 나오는 것을 뜻하죠. 

 

<문제 8번>

Neutralization의 경우 항상 H:OH가 1:1 로 반응하는 형태로 balanced equation 을 써주면 됩니다!

첨부한 파일에 다른 예시도 함께 보여드리니 첨부파일로 보면 이해가 잘 될 것 같아요 ^^

 

 

질문 모두 해결되었나요? ^ ^

계속 공부 열심히 즐겁게 하시고 또 모르겠는 부분이 생기면 질문 남겨 주세요~~!!

 

 

 

-Dani 쌤

첨부파일 1 : IMG_47937FD472CA-1.jpeg
첨부파일 2 : IMG_0B5119074340-1.jpeg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