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음.. 이건 관점의 차이를 생각해보면 좋을것 같아요.
태양에서부터 오는 light energy는 거의 무한하다는건 맞는 얘기이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태양에서 지구 전체로 도달하는 에너지의 관점에서 볼때 의미가 있지
하나의 생명체 입장에서 볼땐, 결국 나에게 얼마나 많은 에너지가 도달하냐가 더 중요하겠죠?
예를 들면, hawaii 근처에 사는 생명체에게는 alaska에 얼마나 많은 빛이 도달하는지 중요한게 아니니까요.
만약 내가 살고 있는 작은 호수에서
yellow-green light wavelength를 흡수하는 생명체가 이미 엄청 많고
자기들끼리 미리 자리를 선점해서 녹조처럼 표면에 어떤 층을 만들었다고 가정한다면
그 녹조 층 밑에 사는 나라는 생명체에겐
아무리 태양의 에너지가 지구 전체에 많이 도달한다고 해도 사실 의미가 없죠.
이 상황에서 나도 경쟁에 뛰어들어 어떻게든 yellow-green light를 받기 위해 아둥바둥 살아갈 수 있겠지만
만약, 다른 생명체가 전혀 흡수하지 않은 에너지 파장을 활용해서 살아갈 수 있다면
훨씬 더 쉽게 살아갈 수 있겠죠. 경쟁이 일어나지 않으니까요.
Any advantage, if given sufficient time, will likely lead to massive proliferation.
that's the basis of natural selection and evolution.
우리는 지구 초창기부터 지금까지 상상을 초월하는 많은 시간이 흘렀음을 가정한다면
경쟁이 덜한 자원을 활용하기 위해 생명체들이 진화하는것은 자연스러운 과정이라고 이해할 수 있겠죠.
도움이 됐나요?
열공하시고 혹시 또 질문이 생기면 게시판에서 만나요!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