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문제를 다시 읽어보면 우리는 zucchini squash를 6등분 한걸로 나왔죠?
this is so that we have 6 different pieces of the same squash
in order to test it at various concentrations of the solution.
here, we are assuming that all 6 pieces will have the same water potential.
더 나아가서 그럼,
how do we find the water potential of the squash?
이때 우리는 different concentrations of solutions에 담겨있는 squash의 mass change 그래프를 보는건데
isotonic environment state (where there is no change in mass) 를 쓰는 이유는
squash가 가지고 있는 solute concentration을 직접 구하기 너무 어렵기 때문이에요.
물론 이론적으론 squash 안에 있는 solute들을 화학적인 방법을 통해 몽땅 빼내고,
물론 squash 안에 있는 물의 양도 전부 빼내서 다 측정해서
물론 정확하게 squash의 solute concentration을 구해서 potential을 계산할 수 있지만..
현실적으론 너무 힘든 실험이고, 오차범위가 엄청 많아지겠죠.
그래서 그걸 bypass할 수 있도록
우회적으로 squash의 internal environment를 측정하는 방법을 쓰는거죠.
어떤 농도의 액체 안에 squash를 넣었는데
24시간이 지나도 mass가 달라지지 않는다면
그건 식물안에 들어가는 물과 나오는 물의 양이 같고
이는 equal concentration on both sides, 즉, isotonic한 state다 라고 증명할 수 있죠.
그건 바깥 환경과 식물 안의 환경의 solute concentration이 같다라고 증명되는거죠.
그러면 squash안에 있는 모든 solute를 꺼내서 계산하지 않아도,
바깥 환경에서 내가 얼만큼의 solute를 넣었는지만 계산하면 되고,
indirect한 방법으로 squash의 water potential을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는거죠.
결과적으론, 우리에게 주어진 그래프는
"너는 isotonic solution이 무슨 말인지 알고 있니?"
"그리고 이걸 통해 squash의 internal water potential를 예상할 수 있니?"
라는 질문을 하기 위해 학생에게 보여주는거에요.
이해가 됐나요?
열공하시고 혹시 또 질문이 생기면 게시판에서 만나요!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