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로 건너 뛰기 내용으로 건너 뛰기
커뮤니티 COMMUNITY
제목 [Brian Rhee] AP STATISTICS
9 Lesson_3B_The Normal Distributions Calculation 9
작성자 jw0*** 등록일 2021-02-18 오후 2:30:13

선생님 안녕하세요. 


1.Boxplot에서, 예를 들어 25th percentile이라고 말하는 것은,

Min부터 포함시킨 것인가요? 

만약, min부터 포함시킨다면, 아웃라이어도 분명히 한 변수인데, 왜 변수 분포의 accumulation인 퍼센타일에 포함시키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2. 이번 강의 5번에 질문있습니다. 

키가 55-73인치인 학생이 전체의 99.7%를 차지한다고 합니다. 

평균을 알지 못하는 이상, 99.7%가 평균을 기준으로 symmetric하다고 못하지 않나요?

근데, 풀이에서는 자연스럽게, 99.7%라는 숫자( empirical rule)때문에, 평균을 기준으로 대칭이다라고 하시는 것 같았어요.


3. 이번 강의 듣다가 느낀것인데, 선생님은 센스있게 숫자를 내림/올림/반올림 하시더라구요. 

예를 들어, 10번에 정확한 Z score값이 약 0.498인데 0.5라고 하시고, 

                                          약 -1.498인데 -1.5라고 하셨어요. 

이문제에서는 마지막에 연립방정식을 풀때, 수의 차는 같기 때문에 반올림하신 것인가요? 

아니면, 상황에 따라, 계산을 간편하게 하기 위해 반올림을 하면 되나요?


감사합니다~

2021-02-18 오후 9:57:16

 

안녕하세요 이연욱 샘입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 드립니다.

 

 

1. The first 25th percentile 에 min 이 포함됩니다. 만약, min의 값이 Q1-1.5IQR 의 값보다 작다면 outlier 이기 때문에 dataset 에서 재거되고 이로인해 percentile에 포함 안됩니다.

 

2. 5번 문제에서 Mean 과 Standard deviation 에 대한 정보가 주어지지 않았습니다.  Emperical Rule 이외의 방법으로는 이 문제를 풀 수가 없습니다.

 

3. 10번 문제는 학생들에게 연립 방정식으로 문제를 손으로 풀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습니다. 만약, 연립방정식을 풀때 0.5 대신에 0.498 를, 1.5 대신에 -1.498 을 써서 연립방정식을 풀면 계산 과정이 너무 복잡해서 학생들이 포기를 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그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반올림으로 쉽게 계산 하였습니다. 계산기를 이용해서 푼다면 당연히 0.498 과 -1.5 를 사용했을 겁니다.

 

 

질문에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