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로 건너 뛰기 내용으로 건너 뛰기
커뮤니티 COMMUNITY
제목 [Kelda Park] AP Chem
Titration 63
작성자 rnf*** 등록일 2021-02-11 오후 6:33:31

안녕하세요,


Titration, buffer에대한 general question 인데요,

Titration 이랑 buffer에서 새로운걸 추가 했을 때의 ph를 계산할 때 처음에 mole stoichiometry를 이용해 neutralization 을 계산하고 남은건 M을 이용해 equilibrium으로 계산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각각 과정에서 stoichiometry를 활용하고 equilibrium ICE로 계산하는 이유가 뭔가요? 제가 생각해봤을 때 neutralization이 일어나 completion으로가기 때문에 mole의 갯수를 직접 계산해야 해서 stoichimotery를 사용하고 그 이후엔 dynamic equilibrium이생겨서 equilibrium으로 계산하는게 아닌가 싶었는데요, 혹시 맞나요?


그리고 buffer 문제 중 선생님 풀이 처럼 mole->M 차례로 계산하지 않고 그 똑같은 계산법을 처음부터 끝까지 M로 계산하는 풀이도 봤는데요, neutralization도 단위가 일정하기만 하면 Molarity로 계산해도 맞는건가요..? 왜 그런가요?


감사합니다

2021-02-14 오후 7:17:07

안녕하세요 

 

neutralization 의 경우는 moles 로 풀어야 합니다. 

다만 M 로 해도 똑같이 답이 나왔다는 것은 

1L solution 이었을텐데 

solution 의 volume 이 많아지면 moles 가 달라지기 때문에

moles 로 하는 것이 원래 맞습니다. 

neutralization reaction은 completion 하는 것이라서 moles 로 하는 것이 맞고 

 

그 이후에 ICE chart 의 경우는 약속으로, M 로 푸는 것이 일반화되어있지만 

사실 ICE chart 도 moles 로 풀어도 안되는 것은 아닙니다만, 

equilibrium 에서 나온 값을 다 다시 molarity 로 바꿔준 다음에 Kc, Kp, Ka, Kb 등의 Keq expression 에 넣어주어야겠지요 

이런 과정에서 실수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ICE 의 경우는 보통 M 로 일관되게 항상 풀라고 이야기합니다. 

 

^^ 도움 되셨기 바랍니다~ 

 

켈다샘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