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로 건너 뛰기 내용으로 건너 뛰기
커뮤니티 COMMUNITY
제목 [Caits Lee] cellular respiration 다시 질문
cellular respiration 8
작성자 her*** 등록일 2021-02-04 오후 5:17:10

1. ( 첨부한 그림의 1번) 선생님께서 CO2와 NAD+가 both lose electrons했다고 하셨는데 CO2가 electron을 lose해서 oxidation이지만 NAD+가 NADH로 되었을 때는 reduction, 그러므로 electron을 gain 했으니 oxidation이 아닌 reduction인 것 아닌가요? (만약 lose할려면 반대로가 아닌가) pyruvate oxidation (decarboxylation) pg. 47쪽의 diagram을 참고했습니다.  


2. (2번) fermentation에서 glycosis가 잘 되게 하기 위해 regenerate NAD가 add 되야한다고 하셨는데 그러면 이게 regenerate된 것이니 2NADH에서부터가 아닌 2NAD에서 NADH 로 가야하는 것 아닌가요? 여기서 언급된 NAD는 그렇다면 어디서 존재하는 것인가요? 


3. Fermentation 은 anaerobic respiration안에 속해있고 그러므로 oxygen이 없는데 glycosis에서 oxygen이 없으면 NAD+에서 NADH로 가는 reduction이 잘 돌아가지 못하므로 NADH에서 NAD+로 regenerate 해야한다.  그리고 NADH가 electron을 pyruvates 에게 주는 이유는 그렇게 해서 자신이 electron을 lose 했으니 oxidated 된 것인데 이게 어떻게 glycosis가 계속 활동하게 할 수 있는건가요? 

첨부파일 SmartSelect_20210204-005111_SamsungNotes.jpg
2021-03-04 오전 12:08:47

안녕하세요 학생 
제가 이 문제에 대한 답을 달지 않고 
지나갔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미안합니다 ㅠ

1. pyruvate 가 CO2 를 lost 해서 decarboxylase되고 ( 아래 그림의 첫 파란색 형광펜.. , 

그리고 나서 (중간 과정 다 생략하고) electron을 lost 해서 oxidize 됩니다 ( CO2 가 oxidize 한것이 아니라 ..) 

그러면 거기서 나온 electron을 NAD+가 받아서

NADH으로 reduce 됩니다. 제가 혹시 NAD+ 가 lose electron이라고 표현했던가요? ㅠ 그러면 잘못된겁니다.

NAD+은 electron을 gain 하였습니다

 

 

2. 아래 그림 보시면 (빨간색으로 제가 그린것) glucose 가 pyruvate 으로 oxidize 되면서  NAD+가 그 electron을 받아서 NADH 으로 reduce 됩니다. 
glycolysis가 keep going 하려면 NAD +가 끝없이 들어와줘야하는데 
NADH가 electron을 give 하고 NAD + 으로 다시 regenerate 하는 step이 ETC 였어요. 근데  ETC의 final electron acceptor인 O2 가 없는 상황에서는 ,ETC가 안일어나니까..

NAD+ 가 regenerate 안되니, O2 와 직접적으로 연관이 없는, glycolysis도 결국 멈추겠다. 라는 생각을 할수 있는데, 
그럴경우, fermentation이 일어납니다. 자체적으로, NAD+을 regenerate 하는거죠. NADH 의 electron을 pyruvate 가 가져감으로써 lactic acid으로 reduce 되고, 
NADH은 NAD+으로 oxidize되어서 다시 glycolysis 과정에서 사용될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