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영국 정부에서 인도에 철도를 놓아주면서 인도인 노동자들이 이 덕분에 많은 혜택을 볼 것이라고 강조하는 지문입니다.
철도가 놓여서 교통이 편리해지면?
아마 전보다 훨씬 먼 곳으로도 통근이 가능해지고, 또 좀 더 나은 일자리를 찾아 다른 지역으로 이주하는 것도 쉬워지겠지요. (2번 답이 B번인 이유)
따라서 노동자들의 입장에서는 일자리 선택의 폭이 넓어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채용하는 입장에서도 역시 장점이 있습니다.
가까운 곳에 사는 노동자들 뿐 아니라 먼 곳에서 노동자들을 구할 수 있게 되면, 그 중 조금이라도 더 일 잘하는 사람을 고용할 수 있겠죠?
보다 효율적인 생산이 가능해집니다.
즉 철도로 인해 노동시장이 개방되어 자유롭게 경쟁하는 가운데,
- 더 유능하고 노력하는 기업과 노동자가 더 좋은 기회를 가지고 더 나은 성과를 내게 되고
- 그 과정에서 지역 전체가 경제적으로 발전한다는 논리입니다.
이것이 바로 아담 스미스가 supply-demand graph 를 통해 invisible hand (=price) 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시작된 고전 경제학의 기본 이론인데요,
시장(여기서는 기업과 노동자)에 더 많은 '자유'를 줄수록 경제는 경쟁을 통해 더욱 발전한다는 것이죠. (4번 답이 A인 이유)
이정도면 충분히 이해가 되셨으리라 믿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