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구 있다고 해주시니 넘 고마워요~~ ^^
1. LiOH로 결합한 상태로 존재하지 않는 이유는,
Li+, OH- 둘 이 각각 물 안에서 잘 쪼개져서 따로 떨어져 존재하는(=dissociate하는) ion들이기 때문입니다.
Group I 에서 Li, Na, K 에 대해 전부 이와 같은 스따일로 반응하는걸 강의에서 배웠을텐데, 얘네들이 반응 후에 만드는 ion과 OH-는 전부 물 안에서 잘 dissociate 해서 따로 따로 돌아다니며 존재합니다.
우선 쉽게 이 정도로만 설명을 하면 될 것 같아요. 왜냐면 이렇게 몇몇 ion들이 water 안에서 dissociate하는 이 내용은 topic 4에서 ion 주위에 water molecule들이 둘러싸는 hydration 설명하면서 다시 자세히 배울거기 때문이에요.^ ^ (topic 4.1 에서 Physical properties of ionic compounds 부분에 나옵니다)
일단 지금의 topic 3 에서는 이런 반응의 종류가 있구나~ 하고 잘 기억해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외우라는 말을 하는 것을 안 좋아하지만 여기 topic 3에서는 반응을 자꾸 자꾸 들여다보고, 좀 외워야 해요ㅎㅎ)
2. Iodine은 상온에서 고체가 맞습니다! 이런 것도 잘 알고 있으니까 일단 칭찬부터 해드릴게요~~~ㅎㅎㅎ
이 반응 자체가 상온에서 일어나기 쉬운 반응이 아니라 열을 가해서 iodine이 gaseous state로 바뀌었을때 잘 일어나는 반응이므로 위와 같은 반응식으로 표현하는 것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IhgI9hBMHYY
링크의 유튜브 영상을 한번 참고해보세요 ^ ^
계속 열심히 재밌게 공부하시고, 또 궁금한게 생기면 찾아주세요~~!!!
Dani 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