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
neutralization 에 관해서 여쭈어볼게 있어요.
쌤께서 exercise 문제 푸시면서 KOH 와 H2SO3 를 비교할때에는 naMaVa=nbMbVb 를 써야한다고 하셨어요. 그래서 OH 는 한개고 H 는 2개이니까 1:2 로 놓고 풀면 된다고요.
맞습니다
하지만, 그 바로 뒤 페이지에 2HF+Ca(OH)2-->2H20+CaF2 이라는게 있었는데 이때는 왜 2:1 로 놓는거죠? (H가 두개가 있고 OH 도 두개가 있는데요..?)
이건 계산이 아니라 coefficient 가 2:1인 경우 아닌가요?
그래서 H와 OH 를 밸런스한 것이지 계산 문제가 아니지요
balance 를 한것이고
계산은 위문제와 동일하게 하면 됩니다 ^^
coefficient 를 이용해서 풀수도 있습니다
두가지방법은 동일합니다.
아래에서 다시 쓰겠습니다.
왜 어떨때는 coefficient 를 보고 풀고 어떤때는 subscript 를 보고 얼마나 neutralize 하는데 필요한지를 구하는걸까요?
두가지 방법은 결국 동일한 방법으로 동일한 답이 나옵니다.
그러나 밸런스하고 coefficient 를 보는 과정이 귀찮을수도(?)있어서
subscript 를 보고 하는 short cut 을 이야기한 것입니다.
어느 방법으로 풀어도 상관없습니다.
감사합니다.
예를 들어봅시다.
When 100 ml of 2 M HF solution is neutralized with 50 mL of Ca(OH)2 solution, what is the molarity of Ca(OH)2 solution?
샘이 가르쳐준대로 subscript 를 이용해서 풀면
1 * 2 M * 100mL = 2 * x M* 50 mL
가 되겠죠?
여기서 x M 는 곧 1 M 일겁니다. (Ca(OH)2 concentration)
그럼 학생이 쓴 chemical equation 을 다시 봅시다
2HF+Ca(OH)2-->2H2O+CaF2
여기서 2:1 이라는 coefficient 이 의미하는 것은
곧 moles of HF : moles of Ca(OH)2 일 것입니다
즉 M* V 를 해주면 Moles 가 나오겠지요? (정확하게 moles 를 원하면 volume 을 리터로 바꾸는 것이 맞습니다. 지금은 비율을 비교하는 문제이므로 그냥 mL 로 쓰겠습니다)
moles of HF : moles of Ca(OH)2 = 2:1
2 M * 100 mL : x M * 50 mL = 2:1 입니다
이것을 아까 위에서 봤던 nMV = nMV 식과 비교해보세요
완벽히 동일한 식이지요
^^
열공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