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로 건너 뛰기 내용으로 건너 뛰기
커뮤니티 COMMUNITY
제목 [Roy Lee] ap biology 질문
3.3Environmental Impacts on Enzyme Function 3
작성자 joy*** 등록일 2021-01-27 오전 2:29:51
speed of reaction을 결정짓는 요소 중 하나인 pH에서 기본 그래프(temperature의 그래프랑 비슷한 모양의 그래프라고 언급하신 그래프)가 나오는데 여기서 optimal pH를 넘어가는 pH값, 즉 점점 염기성이 강해지면 효소가 denatured 되며 speed가 감소하고 산성 부분에서는 점점 optimal pH로 갈수록 speed를 올려준다고 그래프를 해석하는게 맞나요? 그리고 pH의 drastic change가 enzyme을 denature할 수 있으니 갑자기 acidic해져도 denature될 수 있는건가요?
2021-01-27 오후 5:20:10

안녕하세요!

 

첫번째 질문부터 볼께요!

학생이 이런 질문을 하는게 아마 x축의 pH의 시작점을 0으로 놓고 생각하는것 같아요.

다시 말해, x axis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갈수록 

강한 산성에서 약한 산성으로, 중성됐다가, 약한 염기.. 점점 강한 염기성으로 변한다고 보는거죠?

 

사실 pH의 기준은 0이 아니라, 7로 놓고 생각하는게 맞아요.

7이라는 기준점에서 왼쪽으로 갈수록 점점 산성, 오른쪽으로 갈수록 점점 염기성이 되는거고

이렇게 기준을 잡아버리면 그래프를 해석할때

산성이든 염기성이든 점점 극한으로 갈수록, 

화학 반응 속도, 즉 enzyme activity는 점점 떨어진다고 해석하는게 맞겠죠?

 

반대로 산성이든 염기성이든, optimal pH (예를 들면 pH7)에 가까워 질수록

둘다 speed를 올려준다 라고 해석할 수도 있겠죠.

 

 

두번째 질문은 네 맞아요!

strong acid environment에서도 enzyme은 denature 될 수 있고

strong base environment에서도 enzyme은 denature 될 수 있어요.

 

 

도움이 됐나요?

열공하시고 혹시 또 질문이 생기면 게시판에서 만나요! :D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