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교재 42쪽 관련 질문입니다! 만약에 미국에서 private saving이 늘어난다면 (->increase in supply in loanable funds market)
foreign exchange market 에서 US달러가 덜 돌기때문에 US달러의 가치가 올라가나요?
그리고 미국입장에서는 financial capital flow가 inflow가 될까요 outflow가 될까요?
-> 학생분이 질문한 조건에서 interest rate의 변화를 가지고 exchange rate의 변화를 생각할게요.
미국내에서 사람들이 돈을 많이 저금한다는것은 미국의 은행으로 돈이 많이 들어가는것이지요.
미국 loanable funds market에서 이자율의 변화가 일어납니다.
private saving 이 늘어남 -> loanable funds market에서 supply가 늘어나게 되어 US interest rate 가 낮아지게되고,
미국의 낮은 이자율은 투자자들에게 낮은 수익이기 때문에 capital outflow 가 늘어나게 됩니다.
(미국을 향한 투자가 줄기때문에 inflow가 줄어드는 것과 같습니다.)
inflow decrease = demand for USD decrease -> USD depreciate,
또는 outflow increase = supply for USD increase -> USD depreciate.
interest rate 측면으로 exchange rate를 분석한다면, US달러의 가치는 내려갑니다.
이해가 되었길 바래요!
그럼 열공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