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로 건너 뛰기 내용으로 건너 뛰기
커뮤니티 COMMUNITY
제목 [Roy Lee] AP ES 질문입니다!
Lesson 3 Geology/ Tectonics 3 3
작성자 kel*** 등록일 2021-01-09 오후 5:27:39

선생님 안녕하세요, 질문이 생겨서 글 남기게 되었습니다.


p8에서 E horizon 관련 설명 중 'formed in acidic soils'라고 교재에 나와있는데, 그럼 acidic soils가 아닌 토양에는 e horizon이 없나요? 

그리고 같은 설명에서 'the resulting top later of B horizon after iron, aluminum, and organic acids are dissolved by water and moved downward'라고 교재에 명시되어 있는데, 그럼 금속 물질이 물과 반응한 후 b horizon으로 내려 가는 것이 아닌가요? 이후 p. 9 그림을 설명하시는 부분에서 e horizon이 metal 성분이라는 설명이 나왔던걸로 기억하는데, 그럼 금속 중에서 물과 반응하지 않는 것들이라는 것인가요? 이 부분이 조금 헷갈려서 설명 부탁드립니다ㅠㅜ


감사합니다!

2021-01-10 오전 8:34:51

안녕하세요!

 

네! E horizon 의 경우는 C, B, A, O horizons와 다르게

발견되는 경우도 있고, 없는 경우도 있어요.

처음부터 bedrock의 chemical properties에 따라 차후에 생성되는 토양의 성질이 달라지는 원리 기억하죠?

그래서 현재로선, 상대적으로 acidic한 soil에서는 많이 발견된다고 알려져 있어요.

 

E horizon 언급하면서 제가 금속 얘기를 두루뭉실하게 하다보니 헷갈리게 한것 같네요. 

지구상에 워낙 다양한 환경이 있다보니 

일괄되게 모든 토양층에는

"구체적으로 x, y, z element는 무조건 있다" 라고 말하기가 조금 어려워요.

 

그래서 차라리 조금 더 쉽게 설명을 하자면

E horizon의 경우 silicon dioxide 같은 모래 입자들이 축적되는 지역이라고 생각하면 편할것 같아요.

SiO2의 경우 물에 insoluble 하다보니

오랜시간 비가 많이 내리고, 물에 녹으면서 아래로 흐르는 타 B horizon minerals와 달리

같은 위치에서 여전히 남아 있겠죠.

이런 현상이 오랫동안 유지되면 B horizon의 윗부분은

SiO2만 남아있는, 뚜렷하게 밝은 층으로 보이고, 그게 E horizon 이라고 부르는거에요.

단, 이렇게 뚜렷한 층이 되기 위해선 아주 오랜 시간에 거쳐

SiO2를 제외한 다른 minerals가 대부분 아래로 내려가야하겠죠.

그래서 E horizon이 발견되는 장소도 주로 older soil에서 발견되는거죠.

 

도움이 됐나요?

열공하시고 혹시 또 질문이 생기면 게시판에서 만나요! :D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