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안녕하세요? ^__^
demand가 inelastic 하다고 가정했을 때,
cost of production 이 줄면 대체로 생산자는 더 많이 생산할 것입니다.
--> elstic demand이든 inelastic demand이든 cost of production이 줄면(variable cost가 줄어든다고 가정)
quantity produced가 늘어날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profit이 늘어나나요? At lower cost of production, they are more motivated to produce output, since more they produces, higher profit they will earn.
--> 다른 조건들이 불변이고 Short term이라면("ceteris paribus"), profit이 늘어난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t = (P - ATC)* Q인데 P는 그대로고 ATC 작아지고 Q가 커진다면 Profit이 늘어나겠죠?) 그렇지만 cost curves의 모양에 따라 그렇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위 식에서 Q는 커지지만 ATC가 많이 늘어나서 (P-ATC)가 많이 줄어들면 결과적으로 Profit은 줄어들 수도 있지요.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점은 demand가 inelastic 하다는 것인데 제 생각에는 cost of production 이 decrease 했기 때문에 higher profit margin for each item sold 라고 생각하는데 맞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 일반적으로 맞는 얘기지만, demand elasticity(위 식에서 P와 관련)와 cost curves(ATC와 관련)를 모두 고려해야 합니다. Quantity는 늘어나는 게 맞는데 profit은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거죠.
왜냐하면 quantity 도 inelastic 한데다가 supply 가 increase 하면 시장 가격이 떨어지는 것이 시장 매커니즘의 원리니까.. 그래도 profit은 증가할까요?
--> inelstic quantity는 어떤 의미인지 잘 모르겠네요. elstic demand이든 inelastic demand이든 quantity produced가 늘어날 것입니다. 그런데 (P-ATC)부분에 따라 Total profit은 변화 전보다 늘어날 수도 줄어들 수도 있습니다. 학생이 어디까지 학습했는지는 모르겠지만 사실 이 부분은 HL only 부분에서 Theory of Firms를 공부해야 좀 더 자세한 얘기가 가능한 부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