켈다쌤 안녕하세요 오랜만이에용 ㅎㅎ 이번 여름에 AP Chem이랑 Sat Chem이랑 질문좀 했었는데 학교때문에 바빠져서 강의 쉬다가 다시 이번 겨울에 강의 완강하려고 지금 다시 열시미 듣고 공부중이에요 ㅎㅎ!
공부하면서 생긴 질문들 여쭤보려고요!!
네 오랜만이에요 :)
1)교재 19페이지에 Aufbau's Principle설명 하면서 순서가 1s<2s<2p<3s<3p<4s<3d 에서 사실 전 4s가 3d보다 왜 더 낮은지 이해못하였는데 쌤이 강의에서 약간 s block이여서 먼저오고 그 이유가 예를 들어 25Mn 이 있으면 25Mn=1s2 2s2 2p6 3s2 3p6 4s2 3d5 인데 valence엔 무조건 8개 e-가 최대라 5개의 e-가 n=3의 d orbital로 와서 n=3에서 총 e-이 13개가 있는 상황이라고 해주셨는데... 제가 이해가 잘 안가서요 ㅠㅠ 한번 더 설명 가능하시나욧 ㅜㅜ
일단 4s가 3d 보아 왜 에너지레벨이 낮으냐 하는 것은
이해의 문제는 아니에요 ㅎㅎ 그냥 그렇습니다
저걸 이해하려면 s orbital 이 왜 더 stable 한지 - 3d shape 에 따라서 attraction from the nucleus 를 더 받는다 이것을 이해해야 하는데
지금 굳이 그걸 다 알 필요는 없습니다
그래서 샘이 설명을 다 하지 않되 periodic table 을 보고 orbital filling order 를 keep up 해서 그것을 보고 풀라고 했던 것입니다
토탈 electron 이 몇개인지 세어보지 말고, 어느 block 에 어디까지 electron 이 들어있는지를 체크한뒤 electron filling order 대로 다 써주시면 됩니다
그 부분을 설명할때, Mn 의 경우에 3s2 3p6 가 채워지면 이미 Octet 이 되었기 때문에 shell 이 바뀌어야 합니다
octet rule 은 무조건 8개가 아니라
valence electron 이 8개라는 뜻입니다
valence electron 은 제일 바깥에 있는 shell 이죠
3rd shell 에 s orbital 에 두개, p orbital 에 6개의 electron 을 채우고 나서
4s 로 간다는 것은 shell 이 바뀐것이고
4s2 를 채운뒤
다시 3d5 로 옵니다
이렇게 되면 학생 말대로 13개지만 괜찮아요
octet rule 을 violate 하지 않습니다
다시 이야기합니다
octet rule 은 each shell 마다 8개 electron 이라는 뜻이 아니에요
valence electron 이 8개라는 뜻입니다
더이상 valence shell 이 아닌
안쪽에 위치한 3rd shell 이기 때문에 8개를 넘어도 상관이 없어요
2)교재 103-104페이지에 Bronsted-Lowry Acids and Bases 배우면서 Equation에서 Acid, Base, Conjugate Acid, and Conjugate Base 분석할때용..! 분석하는 법은 H+ donor따져서 하는 것은 알겠는데.. 교재에선 근데 Equation들이 다 써져있잖아용!,, 근데 실제로 제가 직접 Equation 써야할때는 어떤 specific product들이만들어지는지는 어떻게 아나용?? 예를 들어 (이건 매우 쉬운거지만) HCN+H20->
<-H3O+ +CN- 에서처럼 그냥 그 SA/SB/WA/WB Table외워서
Acid들은 H+하나씩 주고 Base들은 받고 해서 조합해서 만들면 되나용?
음 그냥 equation 을 보고 어떤 것이 Acid, Base, CA, CB 를 따질수만 있으면 충분합니다 - SAT chem 을 위해서라면요 ^^
MCQ only test 니까요
어차피 AP chem 을 공부할 때는 이에 대해서 더 자세히 배우게 됩니다. :)
3)교재 112페이지 Exercise 6문제가 잘 이해가 안가서요 ㅠㅠ
1) 쌤이 설명해주실 때 아예 equation 3NaOH+H3PO4->3H2O+Na3PO4 이라고 써주시고 들어갔는데 혼자 이런문제나오면 어떤 Reactant들이 Na3PO4 만드는지 알고 equation을 쓸 수 있을까요?? ㅜㅜ
2) 여기서 PO4 3- 가 왜 Conjugate Base of Weak Acid 인가요? (H3PO4에서 H+하나 없애면 H2PO4- 아닌가용?? )
이문제 다시 한번 자세히 설명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ㅜㅜ
우선 이 문제는 acid base chapter 에서도 가장 어려운 문제 중에 하나입니다. 간혹 나오긴 하지만 사실 어려운 문제기 때문에 concept based 를 다 몰라도, logically 풀 수 있게 문제 자체에 어느정도 힌트(?)가 있습니다. 물론 ap chem 으로 가면 이야기가 좀 달라져요 ^^; 이 부분에 대해서 샘이 강의에서 ap chem 에서는 엄청나게 자세하게 설명할 겁니다.
무튼 지금 여기에서는 쉽게
Na3PO4 를 만들게 된 acid base, 즉 parent acid and parent base 를 샘이 써본 것이죠 - 필수로 써야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strong base + weak acid 만났으니 basic salt 다 라고 설명을 하고 들어갔습니다
아 근데 이걸 어떻게 알수있냐.. 아..
Na+ ion 옆에 OH-를 붙인겁니다
cation 이니까 붙일수있는 것이 anion 이면 OH- 겠지요
PO43- 는 anion 이니까 옆에 H+를 붙인 겁니다
이런식으로 생각해서 parents 를 찾을수는 있습니다
무튼 지금 써놓은 equation 은 생각하기 편하라고(?) ㅎㅎ 쓴 것이지 필수는 아닙니다.
그리고 학생이 말한대로 PO43- 는 H2PO4-에서의 conjugate base 맞습니다 ㅎㅎ
근데 문제는 H2PO4- 도 weak acid 입니다 (알 필요 없는 내용입니다 ㅎㅎ ㅠㅠㅠ)
그냥 weak acid 에서 나온 - 파생된 ion 들이라는 의미 정도로만 생각해주심 감사하겠습니다
SAT chem 에서 이걸 다 설명하는 것은 너무 too much deep 이에요
그런데 문제는 나옵니다 이 모든 걸 다 설명하라고 나오는게 아니라..
weak acid + strong base 가 만난 경우이기 때문에 basic salt 라는 것
그런데 왜 basic 이냐 라는 것은
PO43- + H2O --> HPO42- + OH- 를 해서
OH- 를 만들기 때문이라는 것
정도로만 아시면 됩니다 ^^
4)제가 시험이 5월 6월인데 이제 곧 개념끝나면 바로 쌤 chapter test들을 풀고 5,6월다서 그걸 다시 복습하는게 나을까요 아니면 한 4월까지 개념만 퍼펙트 하게 외우고 셤 한달전에 chapter test 를 푸는게 나을까요?? 어드바이스 부탁드려욤 ㅠ
챕터테스트는 만약 공부한다면 개념 강의랑 같이 병행하는걸 더 추천합니다
실전 문제 유형과 비슷은 하지만 그래도 full set 는 아니기 때문에
시간이 없다면 챕터 테스트를 스킵하고 바로 practice test 강의로 가세요
그리고 샘이 문제를 많이 만들려고 노력했지만 (웬만한 시중 문제집을 사도 3세트-5세트 정도지요)
그렇다고 몇십 세트를 만들수는 없었습니다 ^^
문제를 최대한 엄선했지만
문제집이든 칼리지보드 기출 문제등 최대한 많은 문제를 풀어보시고
Final review 강의에서 헷갈리는 내용들을 모아두었으니 들어보시면 도움이 많이 될겁니다
이정도로 어드바이스 드릴 수 있겠습니다.
화이팅하세요 학생 :)
항상 감사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