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 일단 자꾸 질문 드려서 죄송합니다. 하지만 이 부분은 확실히 이해하고 넘어가고 싶어서 질문 드립니다.
32페이지에 Two-way table의 예시가 하나 나와 있는데 이게 age와 education이라는 두 개의 categorical variable의 관계를 설명하는 걸로 알고 있어요. 그런데 여기서 education는 complete HS, 1 to 3 years of college, 4 or more years of college로 나뉘어저 있는데 예를 들어서 complete HS 줄에 있는 숫자들 (50, 150, 100) 을 다 더한게 row total이라고 하는 건가요? 만약 이게 row total 이고 세로 (특정 age의 범위) 끼리 더한것들이 column total이 맞다면 선생님께서 margin total은 row total과 column total 이라고 하셨는데 margin total이 무엇인지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만약에 저 위에 row total과 column total의 뜻이 맞다면 예를 들어 row total을 다 구하면 결국 education은 3줄로 나뉘어져 있으니 3개의 row total이 나올텐데 그럼 이 3개를 다 더한게 margin total인 건가요? margin total이 그럼 row, column 이렇게 두개 나올테니 이걸 두개 더하면 grand total이 되는건가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연욱 샘입니다.
Row total과 Column Total을 모두 통틀어서 나타낼때 Margin Total 이라고 합니다. 예를들면, 직사각형과 마름모꼴은 두개의 형태가 다르지만 모두 평행사변형에 속합니다. 이 예에서, 직사각형을 Row Total로, 마름모꼴을 Column Total로, 평생사변형을 Margin Total로 생각하시면 될 꺼 같습니다.
질문에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