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 머리로는 이해했는데 마음으로 이해가 되지 않아서요 ㅠㅠ
Price level이 내려가면 nominal wage가 내려가는건 long run에서 flexible 하기 때문이잖아요. nominal wage가 내려가면 input prices가 내려가고 SRAS 가 올라가는데 갑자기 왜 long run의 perspective에서 short run의 perspective로 바뀐거죠? ㅠㅠ SRAS가 시간이 지나면 결국 LR의 AS curve 처럼 되는건줄 알았어요 ㅠㅠ input price가 SRAS의 shift factor인 건 이해 했습니다 ㅠㅠ
더 자세하게 설명해주세요ㅠㅠ
--> 안녕하세요! 학생분~~ 네네 맞습니다 헷갈리는 부분이에요^^ 자자~ 이해는 잘하셨구요. 지금 경제 전체가 PL이 올라가는 추세라고 해봅시다. 각각의 labor들이 wage contract의 만기(expiration date)가 다 다르겠지요?? 그럼 누군가는 오늘이 만기일이 되어 renewal을 하겠지요? 그럼 그 labor에게는 지금이 LR의 개념이 적용되는 것입니다. 다른 labor에게는 내일이 될 수 있고, 또 다른 labor에게는 그 다음날이 될 수 있습니다. 다 일괄적으로 오늘 부터 LR이 아니라는 것 입니다. 그럼 추세적으로 PL이 증가하면, LR이 적용되는 labor들은 wage를 올려 다시 contract을 하고(SR개념으로 다시 들어가겠지요) 증가한 wage가 SRAS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입니다.
그럼 도움이 되시나요?
열공하세요!
Sun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