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아주 날카롭고 좋은 질문 주셨네요. ^^
만약에 이 문제에서 보기 4번이 없다면 저도 보기 1번을 답으로 골랐을 겁니다.
1. formation of employee organizations to improve working conditions
여기서 employee organizations은 labor union 으로 생각하기가 쉽죠.
그러면 노동자들의 권익을 위해서 노동조합이 만들어졌고 그들이 자신의 권익을 위해 싸우면서 사회주의가 성장하기도 했으니 크게 틀린 것 같지 않습니다.
그런데 노조는 어디까지나 소속 조합원들의 이익을 대변하는 일을 하지만, socialism 은 그것을 넘어선다는 차이를 주목해 봐야 해요.
사회주의는 산업사회로 인한 빈부격차/계급문제 자체를 본질적으로 변화시켜야 한다는 사상이거든요.
사유재산제도로 인해 분배의 불평등이 심각하게 발생하니,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획기적인 국가정책을 도입하거나 아예 나아가 정치체제를 바꾸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이 사회주의입니다.
그렇게 본다면 보기 4번이 더 정답에 가깝지 않을까요?
emergence of industrial laborers as a separate economic class
저는 그렇게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