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로 건너 뛰기 내용으로 건너 뛰기
커뮤니티 COMMUNITY
제목 [Sunny Kim] ap microeconomics
Lesson 18 perfect competition 18
작성자 nal*** 등록일 2020-11-21 오후 8:32:48

firm마다 MC가 달라지면 ATC도 그에 맞게 달라지잖아요. 그러면 자연스럽게 각 firm의 EP가 max가 되는 quantity도 달라지지 않나요? 

profit maximizing firm, normal profit firm, loss minimizing firm 설명하실 때 EP가 Max가 되는 점을 다 같게 assume 하셔서요! 

perfect competition에서는 항상 product가 identical 하니까 이 product가 최고로 efficient하게 생산되는 점으로 assume 한 건가요? 

2020-11-23 오후 3:13:49

firm마다 MC가 달라지면 ATC도 그에 맞게 달라지잖아요. 그러면 자연스럽게 각 firm의 EP가 max가 되는 quantity도 달라지지 않나요? 

profit maximizing firm, normal profit firm, loss minimizing firm 설명하실 때 EP가 Max가 되는 점을 다 같게 assume 하셔서요! 

perfect competition에서는 항상 product가 identical 하니까 이 product가 최고로 efficient하게 생산되는 점으로 assume 한 건가요? 

 

--> 안녕하세요! 학생분~~ 아하~~ 이런이런!!! 학생분이 말씀하신대로 회사들의 profit이 이렇게   profit maximizing firm, normal profit firm, loss minimizing firm 3개로 나타나지요??

1. profit maximizing firm --> 어떤 회사는 현재 positive profit이 발생하고 있는 해피한 상황에서,  그 positive profit이 max가 되기위해 몇개(Q) 생산해야하니를 결정할때, MR=MC로 Q를 찾는 것입니다. 

2. normal profit firm, --> 어떤 회사는 max EP인 상황이 EP = 0일 경우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똑같이 profit - max가 될때 Q를 잡을때 MR=MC로 잡는 것이구요

3. loss minimizing firm --> 어떤 회사는 상황이 여의치 않아 loss 가 나고있는데 그렇더라도 keep business를 할때(이것은 뒷부분 shut-down부분 내용참고해주세요) loss를 minimize하는 경우에 Q를 잡을때 MR=MC로 잡는 것입니다.

 

즉!!! 처한 상황에서 the best situation을 찾을 때!! 즉, 내 회사가 처한 상황에서 profit-max가 되는 상황에서 Q를 잡을 때는 무조건!!! MR=MC입니다!!

 

너무중요해요!!

강의 꼭!! 다시 리뷰해주세요!

 

Sunny~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