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켈다샘입니다
우선 그 부분 - 이유에 대해서는 꼭 알아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학생이 질문을 하기에 대답을 하지만,
AP 시험에서 물어보는 부분은 아닙니다
설명은 두가지 방식으로 할 수가 있습니다.
1. A+B+heat <--> C + D
자 이런 endothermic reaction 이 있다고 합시다
여기서 B 를 넣어주면 forward 로 가면서, C, D 는 늘어나고, A 는 줄어들고,
B 는 줄어들지만, 여전히 처음보다 많지요?
그래서 CD/AB 라는 Keq value 가 유지가 되는거지요?
(According to Le chatlier's principle)
그러나 heat 의 경우는 다릅니다
heat 을 넣어주면, forward 로 갈때,
C, D 는 둘다 늘어나고
A, B 는 둘다 줄어들게 됩니다
CD/AB ratio 가 바뀔 수밖에 없고
Keq value 는 커집니다
역시 Le chatliers principle 대로 똑같이 shift해도
concentration change 를 할 때와는 다른 결과가 나오는 것이죠
이렇게 Keq 는 바뀔수밖에 없다 temp 바뀔때는
- 이렇게 이해하시는게 가장 쉽습니다
그러나 조금 더 자세히 이야기를 해보면
2. A+ B + heat <--> C + D
forward reaction rate law: Rate = kf[A][B] 가 되겠지요?
reverse reaction rate law: Rate = kr[C][D] 가 될거고요
우리가 알고 있는 equilibrium constant, Keq = [C][D]/[A][B] 인데
이것은 결국 forward rate law = reverse rate law 에서 driven 된 것입니다
kf[A][B] = kr[C][D]
[C][D]/[A][B] = kf/kr = Keq
즉 equilibrium constant 는 rate constant kf/kr 이었던 것이죠
그래서 rate constant 가 temp only dependent 이니까
equilibrium constant Keq 도 temp only dependent 가 됩니다
그러면.. 또 ㅎㅎ rate constant 가 temp only dependent 는 어떻게 되는거냐
라는 부분에 대해서는
kinetics chapter 에서 설명을 했는데
conceptual 하게 왜 그런지라는 부분에 대해서는 언급을 했고
정확하게 numerical relationship 에 대해서는 Arrehnius equation 이 있는데_ rate constant k 와 temp 의 relationship을 보여주는_
AP exam 에서 다루지 않기 때문에 어떠한 equation 이다라는 부분을 소개만 했습니다 ^^
이해가 되셨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