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로 건너 뛰기 내용으로 건너 뛰기
커뮤니티 COMMUNITY
제목 [Simon Lim] page 43. Analysis Fe에서 3d를 분석함에 있어서
Simon 선생님의 New Mentor Chemistry IB 개념정리(SL,HL 공통)_New_Syllabus(From_2014)_Part.1_35강 완성 19
작성자 282*** 등록일 2020-09-27 오전 3:08:55

page 43. Analysis Fe에서 3d를 분석함에 있어서 같은 껍질이어도 l값이 작으면 같은 취급을 한다고 하셨고, 그렇게 한다면 18개의 전자가 있게 됩니다.

1s(2)2s(2)2p(6)3s(2)3p(6) 이렇게 세어보면 18이 나오는데, 10으로 되어 있습니다. 같은 껍질에 있다고 3s, 3p를 포함해서 1s까지 밑줄을 치셨는데요. 잘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같은 껍질에 있는 3s(2)3p(6)는 정확하게 어떻게 계산이 되는 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10이 맞는 것인지도 궁금합니다. 답변에 미리 감사드립니다.

2020-09-30 오후 12:27:00

네~~ 우선 계산식은 18을 곱했어야 하는데 10을 곱했네요 ㅠㅠ 계산결과는 맞습니다. 10을 18로 변경하시면 됩니다. 죄송해요~~

 

Fe는 1s(2)2s(2)2p(6)3s(2)3p(6)4s(2)3d(6)의 electron configuration 입니다. 파악하려는 electron의 principal quantum number가 큰 electron은 고려하지 않습니다. 또한 3d 오비탈과 같은 principal quantum number를 가지는 s, p오비탈의 전자가 d 오비탈을 가리는 shieling은 1입니다.

즉 3s, 3p, 3d는 비록 같은 껍질이라도 d 오비탈은 s와 p에 의하여 모두 1의 가리움을 받습니다. d오비탈은 l=2이지만 p와 s는 각각 1과 0으로 d오비탈보다 l값이 작습니다.

 

3d 오비탈의 electron 1개의 effective nuclear force는 3d 오비탈의 나머지 electron 5개의 경우 shielding이 0.35이고 3s, 3p는 1입니다. 또한 2s, 2p 1s 모두 1입니다. d 는 principal quntum number가 같거나 작은 s, p 오비탈에 의해서는 shielding이 1이고 같은 d 오비탈에 대해서는 0.35입니다.

 

0.35 × 5 + 1×18=19. 75가 맞습니다.

 

principal quantum number가 큰 전자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Slater rule은 effective nuclear force를 계산하는 많은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결과를 일반적으로 사용하기는 하나 모든 경우 맞는 것은 아닙니다.~~ 우선은 IB 에서 개략적으로 언급하는 가리움(shielding)에 대한 내용을 알아두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 내용이 이해가 되셨다면 별 문제 없습니다. (강의노트로 보면 바로 위쪽 슬라이드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