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locity 나 acceleration 의 부호를 정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문제에 맞는 coordinate system 을 정하면 velocity 나 acceleration 의 부호는 따라 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땅에 서있는 사람이 하늘을 보고 위쪽을 + 방향으로 정했다고 합시다. 이것이 위쪽 방향이 + 인 coordinate system 을 정한 것입니다. 그리고 나서 하늘로 위를 향해 돌을 던진다면 그 돌이 올라가는 동안에는 velocity 가 + 일테고 다시 떨어지는 동안에는 velocity 가 - 일테죠. 중력은 항상 아래쪽으로 작용하므로 gravitational acceleration 은 언제나 - 가 됩니다.
만약 어떤 사람이 절벽 위에 서서 아래를 내려다 보고 돌을 떨어뜨린다고 합시다. 이때도 물론 하늘쪽을 + 로 잡아도 되지만 내려다 보고 있으니 그 사람의 시선이 향하는 쪽, 즉, 아래쪽을 + 라고 합시다. 이렇게 좌표를 정해놓으면 떨어뜨린 돌이 내려가는 동안 + velocity, 그리고 항상 아래쪽을 향하는 gravitational acceleration 도 + 가 됩니다.
어느쪽을 + 로 잡느냐는 자기 자유입니다. 일단 좌표축을 정해놓고 그에 따라 +, - 를 맞추는 것이지 어떤 고정된 rule 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