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다니쌤(Dani Kim) 입니다.
먼저 2번 문제에서 reactant (equation에서 화살표 왼쪽에 있는 애들이 reactant)
Hydrogen and Chlorine 은
둘다 diatomic molecule (기본 상태가 H2,Cl2 로 존재하는 아이들)이므로 식을 쓸 때
H2 + Cl2 로 쓰는 것이 '약속'이 됩니다. (강의에서 따로 diatomic으로 존재하는 해당되는 것들- H2, O2, N2, F2, Cl2, Br2, I2을 정리하였죠^^)
그렇게 해서 반응 이후의 product (equation에서 화살표 오른쪽 아이들)가 Hydrogen chloride (HCl) 로 나오는데,
chemical equation 에서 항상 지켜져야하는 것이, reactant 와 product 에서 각각의 element 의 atom 숫자가 같아야합니다. 즉 화살표 왼쪽, 오른쪽 각각에 나타나는 atom 수를 맞춰야 하는 것이에요 (balancing 이라고 표현하고, 강의에서도 다루는 부분이죠 ^^)
그래서 product의 HCl은 앞의 계수(coefficient)를 2로 써주어야 product side의 H, Cl 도 각각 2개 라는 뜻이 됩니다.
마찬가지로 3번 문제에서는
magnesium과 oxygen이 반응할때는 각각의 기본적인 상태로 써줘야하는데 magnesium은 diatomic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그냥
Mg(s) 으로 쓰면 되고, oxygen은 위의 diatomic에 해당되므로 O2(g)로 써주어야합니다.
이 떄 product로 나온 magnesium oxide는 반응 과정에서 electron을 주고 받고 하는 일이 일어나서(이부분은 뒤에 redox reaction 파트에서 다시 자세히 다룹니다) Mg 2+ ion 과 O 2- ion 사이의 결합이므로 * ionic compound를 써주는 규칙에 따라 (Mg:O 결합 개수 비율이 1:1이면 MgO로 표기) MgO 라고 씁니다. 단, 이 경우에도 화살표 왼쪽 오른쪽 깍각 atom 갯수를 맞춰주는 balancing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2Mg + O2 --> 2MgO
라고 표기해야 식이 완성 됩니다 ^^
*ionic compound 식 쓰는 규칙:
Mg 2+ ion 과 O 2- ion 이 결합할때, 둘의 charge 크기 비율이 1:1 이므로 그대로 1:1 갯수로 결합하면 전체 charge가 0이 됩니다.
이 경우 MgO 로 표기하게 됩니다.
이걸 빠르게 하는 방법이 Mg 2+ O 2- 에서 각각의 charge를 사선으로 반대편아래 subscript로 내려줘서 (강의에서 설명한 criss-cross rule) 식을 완성하면 Mg2O2 가 되지만, 약분(simplify)할 수 있는 경우에는 숫자를 simplest whole number ratio 로 써주는 것이 원칙이기 때문에 MgO 가 됩니다.
다른 예시를 들자면,
Ca2+ 와 F- 사이에 만들어지는 ionic compound는 criss-cross 를 하면 CaF2 형태가 되는데 이 때는 더이상 약분이 안되므로 그대로 쓰면 되고 ,
Ca2+ 와 O2- 사이 compound를 만들 경우는 마찬가지로 criss cross를 하면 Ca2O2가 되지만, subscript 숫자들을 한번 더 simplify해서 CaO 로 적게 되는 것입니다.
그럼 게속 열공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