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로 건너 뛰기 내용으로 건너 뛰기
커뮤니티 COMMUNITY
제목 [Paul Jang] 궁금한게 있어 질문드려요
IB Korean A 기본편 노트7/27pg 4
작성자 loh*** 등록일 2020-06-12 오전 2:54:27

선생님 안녕하세요 ^^


선생님 노트에서 <어떤 마을>이라는 시가 있는데, 제가 아무리 생각해봐도 주제를 잘 모르겠어서요 


사람들의 아름다운 심성을 아름다운 별들이 많이 떠있는 걸로, 자연의 미로 표현한거 아닐까 생각했고 


'개울물 맑게 흐르는 곳에'는 이 곳에 사는 사람들의 마음의 순수함을 개울물에 비유해서 말한게 아닐까 생각했고 


'접동새 소리 별 그림자'에서 시각적 청각적 심상의 나열이 있는데, 이가 주는 효과가 무엇인지 잘 모르겠어요 


그리고 또 ''그 물로 쌀을 씻어 밥 짓는 냄새 나면 굴뚝 가까이 내려오던 밥티처럼 따스한 별들이 뜬 마을을 지난다''는 무슨 의미인지 해석이 잘 안되는데 이 부분 무슨 의미인지 알려주실 수 있으신가요?


그리고''사람들이 순하게 사는지 별들이 참 많이 떳다''라고 반복되는데, 이는 사람들의 순수성을 강조하기 위한 반복법인가요?


감사하고 좋은 하루 되세요 



2020-06-12 오전 9:35:06

안녕하세요. 시는 참 많은 학생들이 어려워하고 두려워 하는 문학 갈래지요. 

질문하신 내용에 대해 답변을 드릴게요.

일단, 

IB 시험은 정답을 찾는 것이 아니라 학생의 주장을 합리화 하는 과정을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에 시에 정해진 주제를 찾는 것보다는 학생이 생각하고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주제를 선정한 다음에 이에 대한 근거를 본문 중심으로 제시하는 것이 제일 중요합니다. 하지만 연습하는 과정에서는 어느 정도는 정해진 답을 보고 이를 역추적하는 방법도 좋은 연습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답변을 해드리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여기에 설명해 드린 내용은 참고 답안이지 정답이고 이것만 답이라고 생각하시라고 해드리는 것은 아니니 명심해 주시기 바랍니다.


도종환 어떤 마을

1. 주제 - 자연과 조화롭게 살아가는 순수하고 정겨운 마을의 풍경과 이에 대한 동경

 

2. 접동새 소리 별 그림자 - 마을을 이루고 있는 또 다른 존재들에 대해 복합적 심상을 통해 표현한 구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접동새 소리는 청각적으로 사람에게 쉽게 다가가지 않는 새인 접동새도 지저귀며 살아가는 동네라는 점을 청각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부분으로 화자는 이 동네를 지나가는 사람이기에 직접 볼 수 없지만 소리를 통해 이 동네가 자연과 인간이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는 공간이라는 것을 인식하게 도와주는 요소로 볼 수 있고 별 그림자는 시각적 심상으로 별이라는 하늘에 떠 있어 손에 닿을 수 없는 대상이 그림자를 통해 이 마을이 있는 땅으로 내려와 함께 공존하는 모습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부분이라고 해석해 볼 수 있습니다.

 

3. 그 물로 쌀을 씻어 밥 짓는 냄새 나면 굴뚝 가까이 내려오던 밥티처럼 따스한 별들이 뜬 마을을 지난다

마을로 맑게 흘러가던 개울물은 접동새 소리와 별 그림자까지 담아 마을의 핵심 장소인 부엌으로까지 들어오게 되는 과정을 상징적 시어들을 통해 제시한 부분입니다. 자연적 요소를 모두 담아낸 물로 만든 밥을 마을 사람들이 먹게 되는 장면은 인간과 자연의 조화가 자연스럽게 이뤄지는 과정을 제시한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러한 요소로 만들어진 분위기가 이 마을 곳곳에 널리 퍼지게 되는 과정을 냄새라는 후각적 심상을 통해 표현한 것이며 마침 인간과 조화를 시도하던 하늘의 존재인 별들도 이 공간에 정겨움, 따뜻함이라는 분위기를 더해 주는 장면을 밥티처럼 별이 지난다고 표현한 것입니다. 여기에 이러한 분위기를 더욱 극적이고 구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촉각적 심상인 따스한이란 시어를 사용하였으며 땅의 존재인 물과 하늘의 존재인 별이 인간의 공간인 마을과 이어지는 과정은 하늘과 땅 그리고 인간의 조화라는 동양적 이상 세계관이 형성되는 과정을 표현한 부분이라고 해석해 볼 수 있습니다.

 

4. 문장 구조가 반복되는 것은 대구법으로 보는 것이 좋습니다. 여기서는 사람들의 순수성을 강조하는 효과 외에도 제가 주제에서 적은 이러한 동네에 대한 화자의 동경적 태도를 강조하기 위해 제시한 것으로 보았습니다. 화자는 이러한 이상적 공간에 살지 못하고 그저 지나갈 수밖에 없는 유한적 존재이지만 자연과 인간이 조화를 이루고 살아가는 순수하고 정겨운 이상적 세계에 대한 부러움과 동경을 표현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이 마을에 대한 화자의 축약적 감상을 반복해서 넣었다고 해석해 볼 수 있습니다.

 

그럼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