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먼저 삘릴리 풀피리 소리에 산이 요동쳐 이 시구에는 사실 다양한 수사법과 표현방법이 사용되었습니다.
그중 저는 과장법을 설명하기 위해 이 시구를 인용한 것입니다.
먼저 과장법이 될 수 있는 이유는 아주 작은 소리에 불과한 풀피리 소리에 상대적으로 매우 큰 산이 요동을 친다는 표현을 두고 과장법이라고 표현한 것입니다.
요동을 친다는 시구를 의인법으로 보실 수도 있지만 주변의 큰 이변에 요동을 치는 것은 동물들도 할 수 있기 때문에 사람만 할 수 있다고 보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습니다.
그리고 여기서 한 가지를 더 고민해야 하는 부분이 있는데 이것이 제일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이러한 수사법, 표현법은 모두 작가의 의도에 따라 사용된 것이라는 점입니다. 그러므로 찾아낸 수사법 표현법이 작품 내에 어떤 역할을 하느냐에 더 집중하시면 해당 수사법에 대한 범위가 더 좁아지고 작품 분석에도 더 도움이 됩니다.
즉, 이 시구가 산에 인격을 부여해 산을 인간의 어떤 성향 중 하나를 표현하려고 했다면 의인법이 사용된 부분이라고 설명하면서 어떤 인간의 성향을 나타내려고 하고 있다는 식으로 전개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반대로 이 시구를 초라해 보이는 풀피리 소리가 가진 위력과 영향력을 극대화해서 독자에게 전달하려는 의도가 있다고 본다면 과장법으로 분석하는 것이 더 유리하겠지요.
이러한 부분을 고려하시면서 수사법과 표현법을 이해하시길 바랍니다.
그럼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