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질문을 볼게요.
1) monopoly에서 government regulation으로는 antitrust law, price ceiling and floor, per-unit/lump-sum tax and subsidy가 있다고 하셨습니다. 그런데 tax and subsidy를 제외하고 다른 정부의 정책들이 어떻게 영향을 끼치는지 정리를 해 주실 수 있나요? (가령 FRQ 2011년 1-(f)같이)
Price ceiling
-> monopoly firm의 profit max point에서는 quantity 는 적고, price는 높은게 문제이기 때문에
국가가 가격을 내리고 maximum price를 만드는 거지요. 일반적인 price ceiling의 효과와 같습니다
(chapter 3 microeconomics policies 에 자세한 내용이 있습니다.)
Antitrust law
-> 시험에서 잘 묻지는 않지만, 공정거래법이라고 생각하면 쉬워요.
공정한 경쟁을 할 수 있도록 독점 기업에게 벌금이나 영업정지같은 벌칙을 내립니다.
2) FRQ 2011년 1-(f)에서 MR이 $22인 이유는 기업이 받을 수 있는 돈이 22달러로 제한되어 있어서인기요?
-> 네 맞습니다.
그러면 demand curve는 그대로이고 MR만 22달러에 horizontal하게 그리면 되는 것인가요? 원래 profit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MR=MC지점인 24달러를 받아야 하는데 22달러밖에 못 받는 것까지는 이해가 되는데 어차피 24달러를 못 받을 밖에야 다른 가격을 받아도 상관이 없는 것 아닌가요?
-> 원래 monopoly firm이 8개의 물건을 만들때, profit max pirce는 24 입니다.
그런데 price ceiling 이 22 에 set 되었으니 받을수 있는 최대값이 22가 된 것이지요. ^^
3) 역시 2011 FRQ 1번에서 profit-maximizing output level이 no government intervention인 경우 8개이고 profit은 $(24-18)*8 = $48입니다. 그런데 정부가 price ceiling을 매겨서 22달러를 받게 되었을 때의 profit은 (22-16)*9 = $72입니다. 어떻게 여기서 생기는 이익이 profit maximum보다 더 커질 수 있나요?
-> 문제가 각각의 quantity 마다의 모든 profit 을 고려하고 그래프상 숫자를 넣지 않은듯 합니다.
모순되거나 상황에 맞지않는 문제는 내지 않으니 걱정 마세요... ^^;
4) monopoly 외에 perfect competitive market, monopolistic competitive market, oligopoly에서는 government policy에 대해서 생각하지 않는 것인가요? (perfect competitive market에서 tax and subsidy가 미치는 영향 외에는 다른 government policy가 미치는 영향을 배우지 않았습니다.)
-> 네 특별한 government intervention가 필요한 일반적인 경우 (tax, price ceiling, price floor) 가 동일하게 적용되고,
market 마다 적용되는 policy가 있는것은 아닙니다. 교재에 없는 내용은 특별히 AP시험에서 다루지 않습니다.
5) monopolistic competitive firm의 경우 short-run에는 profit이 있는데 결국 long-run에서는 다른 firm들의 유입과 이에 따른 firm's demand curve의 감소로 normal profit이 된다고 배웠습니다. 그런데 어차피 long run에서는 economic profit이 0인데 왜 광고를 하는 것인가요? 광고를 많이 하면 long-run profit이 생길 수 있는 것인가요?
-> long run equilibrium은 우리가 이론상 언젠가 생기는 상황을 배운것이지요. 실제 상황에서는 firm의 광고여부, 상품의 질, 고객들의 tastes 아주 많은 것들이 firm의 profit에 영향을 미칩니다. 어차피 long run에 profit이 zero이니 광고도 안하고 상품 개발이나 노력을 하지 않는다는 것은 현실에서는 있을 수 없는 일입니다. ㅠㅠ 모든 firm들은 지금 상황에서 profit을 낼 수 있는 최선을 다하겠지요. ^^
6) FRQ 2015년 2번 문제같이 game theory 문제가 나오는 경우 두 회사들이 collude하지 않는다는 전제가 늘 나오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만일 둘이 협력한다면 그 때는 무엇으로 협력하는지 문제에서 주어지나요? 아니면 저희가 combination matrix에서 당일날 유추해야 하는 것인가요?
-> 협력한다는 것은 두 firm이 함께 모여 상황을 보고 둘 모두에게 가장 유리한 action을 한다는 것입니다.
문제에서 collude 를 했다고 한다면, 두 firm 모두에게 공정하게 (여기서 공정하다는 것은 어느 한쪽이 급격한 profit 이나 loss를 가지지 않고 둘이 비슷한 profit을 가지는 선에서) 두 firm의 profit 이 높은 action이 만나는 equilibrium을 찾아주면 됩니다. 보통 문제들은 학생들이 답을 찾을 수 있도록 두 회사 모두에게 유리한 선택을 눈에띄게!!! 준답니다...!
시험 앞두고 긴장이 되겠지만, 긴장을 이기는 가장 큰 방법은 더 열심히 공부하는 것 뿐입니다... ^^
화이팅 힘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