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로 건너 뛰기 내용으로 건너 뛰기
커뮤니티 COMMUNITY
제목 [Simon Lim] half life of nuclear decay
NEW Mentor Chemistry -AP Chemistry 개념정리 0
작성자 ksg*** 등록일 2020-05-11 오전 7:18:45

안녕하세요 선생님,

제가 apclassroom에잇는 문제들을 풀고있는데요.

이번문제는 I->Xe+e로 가는 문제였는데요. 이 문제도 낯서네요..

근데 우선 half-life에서요 first order이면 t=ln2 / k인데. arrhenius equation에서 k는 T가 증가하면 증가하잖아요. 그러면 T가 올라갈때 예를 들어 25C 에서 50C로 올라갈때, t는 줄어들어야되는거 아닌가요? k값이 증가하니까? 근데 정답은 nuclear decay에서 half-life는 온도에 indenpendent 하다고 하네요?


+이런 covalent network solid 혹은 알파, 감마, 베타 입자 산란 실험에 관한 문제는 아무래도 문제수가 제한되어있다보니 이번에 출제될 확률은 적겠죠? 

2020-05-12 오후 4:00:42

네 우선 온도가 증가하면 rate constant가 증가하므로 reaction order에 상관없이 반응속도는 빨라지고 half life는 짧아집니다. 일반적인 화학반응에서는 그러합니다. 핵반응은 대표적인 first order reaction입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화학반응과 달리 핵 반응이 일어나는 공간은 원자의 내부로 이 공간은 일반적인 화학적 주변환경의  온도 압력 등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즉 실험실의 온도가 높아진다고 하여 핵반응이 공간의 온도가 변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우리가 보는 일반적인 반응은 원자 자체가 변하는 것이 아니고 원자간의 결합이 재 형성되는 것이지만 핵반은 원자핵(종)이 다른 핵(종)으로 변화, 즉 화학반응 전 후에 원자의 종류가 바뀌는 반응으로 그 반응은 원자 내부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비록 이 반응이 속도론적으로 1차 반응이라고 하더라도 온도의 영향을 받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가 나온다면 충분히 생각할 만한 정보를 줄 것입니다. 우선 일반적인 화학반응의 속도 내용을 알아두십시요

 

또한 핵반응이 출제된다 그렇지 않다는 섣불리 판단할 수 없습니다. 이부분은 양해를 구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