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1) 2007 FRQ -B 에 Q1에서
a)에서 draw graph of monopolistically competitive making economic profit in short run 이고
d)에서는 new graph 인 long run
이라고 주어지면
d에서 shift한 orginal Demand & new demand를 다 보여주야하나요?
답지에서는 new demand만 나와있던데 shift를 그리면 틀린걸로 간주되나요?
--> Long-run 상태만 그리라고 하니 new D만 그리시면 됩니다.
Q2) New firms enter exit은 long run에만 가능한건가요?
short run에는 number of firms constant regardless of economic profit & loss인가요?
--> 그렇치요. long run에만 free entry and exit이 가능하니까요
Q3) Microeconomics textbook Part 2. pg 22에 FRQ 2008_1에 c-ii)에서
lumpsum subidy for all firms in perfectly competitive constant cost market일때
constant cost 면 market price기 constant price인줄 알았는데
이 문제에서는 price decrease & output increase 라고해서 헷갈립니다.
1. Constant cost perfect competition market
2. Lumpsum sibsidu in market
3. Market price decrease & Market output increase
위 세 조건을 만족시키면서 long economic profit = 0가 되려면 side-by-side graph가 어떻게 생기나요?
--> e번 문제에서는 long-run의 상황을 물어보는 것이니, sub로 인해 --> EP증가 --> new firms enter --> Market supply 증가--> 그래서 P감소 Q증가이지요? 11페이지 case 1그래프와 같습니다.
Q4) FRQ에 a)가 옐를 들어 어떤 change가 있을ㄱ때 각 varible i) ii) iii)의 변화를 물어보는 문제일떄
ii) iii)에는 varible만 나와있고 i)에는 varible, explain 이라고 되어있으면
셋 다 변화와 셋 다 설명을 얘기해야하나요?
아니면 셋다 변화와 i)의 설명만 하면 되는건가요?
--> explain 하라고 표현 있는것만 하면 됩니다.
Q5) government가 tax on firm을 impose했을때 맞는 표현이 Supply curve decrease & shift left이잖아요.
Cost of production이 올라간거기 떄문에 MPC increase 가 맞는 표현인가요?
맞다면 supply decrease = MPC increase가 맞는 건가요? 표현이 헷갈려서요.
--> 네 맞아요. 근데 이부분은 시험 범위가 아니지요. unit 6빠진다고 기존에 공지한 부분 확인하셨지요?
Q6) Postive externality of consumption일때 government impose tax on firm이면 MPC가 왼쪽으로 shift할때 생기는 deadweight loss를 diagram에 표현해서 보여주실 수 있나요?
--> 이것도 시험 범위 아닌데요. 확인해보세요
Sun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