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orbance(흡광도)는 개념강의에는 없습니다. 어떤 단원과 특별히 연계성이 있는 내용이 아니기 때문에 2015 FRQ 5번 풀이에서 간단히 설명하였습니다. 또한 우리는 분석화학을 하는 것이 아니어서 absorbance라는 분야에 중심을 두는 것이 아니고 이를 이용해 농도의 높고 낮음을 비교하는 정도입니다. 그리고 이 문제는 이를 활용하여 반응속도를 판단하는 문제였습니다.
실제로 이 내용을 수식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문제는 출제된 일이 없고 다만 수식은 주어지고 그 수식의 의미만 알면 되는 것이 전부입니다.
참고로 설명을 드리자면 collegeboard가 제시한 수식형태로 설명한다면
A(absorbance)=εbc에서 ε는 molar absorptivity(몰 흡광계수)이고 물질의 종류에 따라 1M 농도당 쪼여준 빛을 얼마나 흡수 하는가 입니다. 당연히 모두 같은 조건이라면 ε이 큰 물질이 absorbance가 큽니다.
b는 측정할 sample을 담는 cuvette에서 빛이 투과되는 거리를 말합니다. 만약 가로 세로 높이가 1cm인 큐벳이 있고 빛을 가로방향을 쪼여준다면 b=1cm가 됩니다.
한편 c는 물질의 몰농도(molarity)로 만약 ε, b가 동일한 조건이라면 관찰하고자 하는 특정물질의 농도에 땨라 흡광도가 달라지게 됩니다. 즉 A가 크면 시료 내의 물질의 농도가 많고 쪼여준 빛의 wavelength에 해당하는 빛을 많이 흡수합니다. 한편 물질마다 흡수하는 wavelength가 다르므로 이 값은 분석하고자 하는 물질에 따라 결정됩니다. 하지만 이 역시 우리가 고민할 부분은 아닙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