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연욱 샘입니다.
Lesson 12B 질문에 대한 대답:
강의 풀이에서 invrnorm을 잘못 사용했네요. Normalcdf를 사용하는 것이 맞습니다.
그리고 질문에서 "전 normalcdf (-10000, -3.536, 0, 1)로 풀었는데 2.032 가 나오더라구요"고 했는데, 계산기를 사용해서 값을 구하면 2.032E-4가 나옵니다. E-4의 의미는 10^(-4)으로 0.0001을 의미합니다. 즉, 2.032E-4 는 2.032 X 0.0001 =0.000232를 나타냅니다.
Lesson 13B 질문에 대한 대답:
Type I error 와 Type II error 는 대상에 따라서 나쁠 수도 있고 좋을 수도 있습니다.
13B Q7(C) 에 대한 대답: Factory owner에 관점에서는 단기적으로는 Type I error 때문에 검사비용을 추가로 지출하여 나쁠 수 있겠지만, 장기적으로는 Type II error 로 인해서 고객들의 불만이 쌓이고 그로인해 불매운동까지 확산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Factory owner 가 Type I error보다는 Type II error에 더 신경을 쓰는 이유입니다.
13B Q7(D) 에 대한 대답: Type I error로 인해서 factory는 검사비용을 추가로 지출하여 불량품의 양을 줄이는데 노력을 할 것입니다. 이는 곧 상품의 품질향상으로 이어짐으로 customer들이 더 신경쓰는 부분일 것입니다.
질문에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