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로 건너 뛰기 내용으로 건너 뛰기
커뮤니티 COMMUNITY
제목 [Roy Lee] 선생님
how to prepare ap biology 2020 0
작성자 jak*** 등록일 2020-05-02 오후 9:01:40

선생님 선생님께서 frq만 치는 2020시험 대비법 글을 올려주셨자나요 

거기서 alternative hypothesis/ null hypthesis 얘기를 하셨는데 

null hypothesis는 완전히 이해가 갔어요 

내가 생각한 factor가 영향을 전혀 미치지 않는다고 가설을 세우는 거지요 

그렇다면 alternative hypothesis가 무엇인지 찾아보니 null hypotheis 가 실패했을때 세우는 가설? 인거같은데 

그렇다면 내 가설이 틀렸을때  받아들여진다 라는거 같은데 솔직히 의미를 이해름 못하겠어요 


지식백과를 보니 

귀무가설이 기각될 때 받아들여지는 가설로 대체가설(代替假說)이라고도 한다. 대립가설은 귀무가설과 달리 실제 검증 대상이 아니며, 단순히 귀무가설이 기각될 때 대체되는 가설을 말한다.

이라는데 귀무가설이 null hypothesis이자나요 


그렇다면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라는 저의 null hypothesis 가 reject됬다면 

영향을 미친다가 alternative hypothesis인가요?

그러면 저것이 실제 검증대상이 아니라는 말은 무엇인가요?

2020-05-03 오후 6:40:39

안녕하세요!

 

왜 null hypothesis를 reject/confirm하고,

alternative hypothesis는 증명하지 못한다는 말은

5.4 Nonmendelian Genetics II 강의에서 30분쯤에 얘기를 하니까

한번만 빠르게 복습해보는게 좋을것 같아요.

 

간단하게 다시 요약을 하자면

과학적인 결론은 언제든지 새로운 실험으로 인해 바뀔 수 있다 라는 말 들어본적 있죠?

이 말의 뜻이 뭐냐면, 

언제든지 "더 맞는 가설"이 존재할 수 있고,

우리가 아직 그걸 발견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으니까

함부로 성급하게 현재 우리가 가지고 있는 가설이 무조건 맞다 라고 확신하기 보단

'현재까지 설명 중에선 그나마 지금 이게 제일 그럴싸하다' 라고 생각하는거에요.

 

이런 과학적 사고의 밑바탕은 철학적인 논리에서 유래되는데

지금 이게 학생에게 중요하진 않고, 이해를 돕기 위해 단순한 예를 들어서 설명을 해볼께요.

 

나는 "빛이 식물들의 성장에 중요하다" 라고 생각해요.

그럼 null hypothesis는 자동으로 "빛은 식물들의 성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라고 설정되겠죠.

자, 그럼 이걸 가지고 실험을 할때

난 식물들을 2그룹으로 나누고, 하나는 빛을 많이, 하나는 적게 비추고

얼마나 잘 성장하는지 확인할 수 있죠?

그럼 빛을 많이 받는 식물은 잘 자라고, 빛을 받지 못한 식물들은 잘 자라지 못할거에요.

 

자, 그럼 이 결과를 바탕으로 내가 내릴 수 있는 결론은

빛을 주지 않으면 식물들은 잘 자라지 못한다. 

이게 최선이에요.

빛을 주면 식물들이 잘 자란다 라고 확신을 못해요.

왜냐면, 내가 어디까지나 "확신을 가지고" 말할 수 있는 것은

빛을 받지 못한 식물은, 빛을 받은 식물에 비해, 잘 성장하지 못한다는 거죠.

고로, "빛은 식물에게 영향을 주지 않는다" 라고 주장하는 null hypothesis는 확실히 아니다라는거에요.

I can reject the null hypothesis.

 

근데, 그렇다고 식물들이 잘 성장한 이유가 빛 때문이냐?

그러면.. 그건 잘 모르는거죠.

말도 안되는 얘기처럼 들리겠지만,

우리가 아직 발견하지 못한, 현재 과학기술로 감지하지 못한 

무색무취무질량의 "식물성장촉진요소X"에 의해

어떤 식물들은 잘 자란거고, 어떤 식물들은 그렇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으니까요.

말도 안되는 얘기처럼 들리겠지만, 그 가능성을 아예 부정할 수는 없는거에요.

이건 모르는거에요. 그리고 앞으로 영원히 모를수밖에 없어요.

왜냐면 과학의 발전은 앞으로 무한하지만, 그때마다 항상 기술력의 한계가 존재할거니까요.

그러니까 우리는 null hypothesis가 틀렸다 라고 주장하는건 가능하지만

내 alternative hypothesis가 맞다 라고 주장하는건 불가능한거죠.

 

결국, 현실적인 측면으로 돌아와, 

우린 세월아네월아 하면서 식물성장촉진요소X가 발견될때까지 결론을 보류할 순 없으니까

우리가 현재 가지고 있는 가설 중에서 "빛이 식물 성장에 중요하다"가 가장 그럴싸하기 때문에

일단 이걸 받아드리고, 이게 맞다는 가정하에 추가적인 과학적 가설을 세우는거에요.

 

어렵죠? 

다시 한번 말하지만, 이게 철학적인 이야기다보니까 얘기가 빙글빙글 도는 경향이 있어요.

하지만 다시 한번, 학생에게 지금 중요한 것은

null hypothesis states my independent variables have NO EFFECT on the outcome (dependent variable)

alternative hypothesis states my independent variables will have an effect on the outcome 이라고 정리하면 될것 같아요.

 

이 얘기는 한 10분정도만 곰곰히 생각해보고

과감히 다른 부분 복습하길 추천해요.

대학가서 과학적 사고의 맹점에 대해 탐구해볼 시간은 많이 있을거에요! :D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