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선생님,
--> 안녕하세요! 학생분~~^^
FRQ나 문제풀이에 있던 것 때문이 아니라 한 개념이 헷갈려서 질문 드립니다.
Price level과 interest rate에 관련된 것인데요,
price level이 오르면 purchasing power가 낮아져서 interest rate가 증가하잖아요,
--> 그쵸그쵸!
근데 문제풀이 P46 에 FRQ 2010_2의 C번에는 interest rate이 증가하면 borrowing cost가 증가함으로 consumption, investment가 줄어들어 capital stock/formation이 줄어들어 AD가 shift left로 prive level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와있습니다.
그럼 price level이나 interest rate중에 어느 것이 먼저 증가/감소하냐에 따라 남은 한가지가 정해지는 건가요?
-> 그렇치요!! cause and effect를 잘 분석하셔야 해요. 여기서는 IR증가가 cause이니, 그로인해 AD감소 --> PL감소로 가는 것입니다.
지금까지 price level이 증가하면 borrowing cost도 증가해서 interest rate도 증가된다고 알고있었습니다.
--> 여기서는 PL증가가 cause이잖아요? 그럼 inflatino증가로 --> fisher eq.로 인해 nominal IR이 증가하게 되니요.
상황 별로 다른 것인가요?
어디 챕터쪽 개념을 제가 놓친건가요..?
--> 주워진 cause를 놓쳐서 그런 것입니다. 꼭!! 원인과 결과를 명확하게 구별해주세요!
화이팅!
Sun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