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질문을 볼게요.
첫 번째 질문입니다. FRQ 2013#3 (d) (i)와 (ii)를 해설하실 때 price level이 증가하므로 nominal interest rate은 증가하지만 real interest rate은 inflation과 무관하기 때문에 SRAS가 왼쪽으로 이동한 것에 대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하셨습니다. 그런데 제가 이제껏 배운 바로는 inflation이 발생하면 consumption과 investment를 하려고 하는 borrowing이 늘어나서 loanable funds market에서 수요 곡선이 오른쪽으로 가고 그래서 real interest rate이 올라갑니다. Real interest rate이 이 문제에서는 가만히 있는 것인가요?
-> 네. price level은 nominal value에만 영향을 줍니다. Fisher equation을 사용하면,
Nominal IR = Real IR + price level 에서, price level의 증가는 nominal value의 증가를 가지고 오지만, Real value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이 문제에서는 price level의 변화가 nominal value 에는 영향을 주지만 real value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것을 구분하여 물어보는 문제이기 때문에 fisher equation으로 풀어주세요. ^^
그리고 왜 nominal interest rate이 증가하는지 설명할 때 money market을 보면 inflation이 일어나면 사람들이 돈이 많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MD가 늘어나서 nominal interest rate이 증가한다고 설명해도 되나요?
-> 네. 맞습니다. MD curve가 right shift, 그러면 nominal interest rate가 올라갑니다.
두 번째로 FRQ 2009B #1 (b)(i)을 해설하실 때 세금을 감면하면 가처분 소득이 늘어나서 소비가 증가하여 AD가 right-shift한다고 하셨었습니다. 그런데 consumption 뿐 아니라 investment도 같이 늘어나지 않나요? Investment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아도 괜찮은가요?
만약에 여타 다른 문제에서 AD가 증가하는 변화를 보였을 때 C와 I가 둘 다 증가하는데 C가 증가한다고만 쓰면 점수가 깎이나요? C, G, I, NX 중에서 AD shift factor가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반드시 모두 써야 하나요? 아니면 하나만 써도 괜찮은가요?
-> 2009B #1 의 (b) Kohelis advises the president to decrease personal income taxes. 이렇게 문제에서 조건을 주었습니다.
personal income taxes 라고 주었기 때문에 여기서의 tax 변화는 consumers들에게만 영향을 미칩니다.
income을 받는 사람들의 tax양이 줄어든 것이기 때문에 consumption은 늘어나지만 investment의 변화는 말하지 않아도 됩니다.
문제에서 준 조건이 C와 I를 둘다 변화시키는 조건인지, C와 I 둘중에 하나만 변화시키는 조건인지에 따라서 AD shift factor로 언급해야 하는 내용들이 달라질 거에요. ^^
샘이 답이 늦어서 미안합니다. 이제 시험까지 얼마남지 않았네요.
하지만 지금 남은 기간동안 열심히 한다면 충분히 역전 가능합니다! 힘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