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5-14 (31분)
말씀하실때 displacement의 각도가 아닌 velocity의 각도라고 말해주셨는데 지문의 어디 부분에서 그런 힌트를 얻으셨는지 알고 싶습니다.
그림으로는 알 수 가 없고, deflection angle이라는게 원래 그런뜻인가요? ㅎㅎ
선생님 염려대로 displacement 각도로 풀었네요..
#E5-17
그렇다면 만약 원래대로 무한한 거리의 potential을 0으로 둔다면
RegionⅠ의 potential은 kQ(1/r-1/b) 이고
Region Ⅱ의 potential은 0인가요? (밖에서 볼때 Ⅱ에는 E field가 없어서 무한대에서의 potential과 일치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되면 potential의 그래프가 continuous하지 않아서 틀린것 같은데 어느 부분을 잘못생각했을까요?
#E5-18
여기서 왼쪽의 있는 shell이 q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건
shell theorem에 의해서 안쪽 field가 다 상쇄되는 것이죠?
[Q5-14]
deflection angle 이란 charge 가 튀어나가는 방향을 말합니다. trajectory 는 포물선을 그리지만 그 포물선의 접선이 velocity 방향이고 그것이 field 부분을 통과해 나왔을 때 charge 가 날아가는 방향이 됩니다. 무엇인가가 움직이는 방향이라는 것이 바로 velocity 의 방향입니다.
[Q5-17]
맞습니다.
continous 합니다.
[Q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