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re on the right track, but I think we should clarify some things before moving on.
일단 기본 set up을 이렇게 정리해볼께요.
2 Genes : 머리카락 색깔 유전자 (A), 눈동자 색깔 유전자 (B)
각 gene 마다 allele도 2개씩
머리카락 A gene : dominant A (black) / recessive a (yellow)
눈동자 B gene : dominant B (brown) / recessive b (blue)
Dominant genes A and B are on the same chromosome
Recessive genes a and b are on the same chromosome
학생이 지금 궁금한건, 만약 엄마는 AABB 이고, 아빠는 aabb인 상태일때
엄빠가 반반 섞인 AAbb, 또는 aaBB individual이 나와도 crossing over 이라고 하는게 맞냐고 물어보는거죠?
아니에요.
왜냐면 처음부터 그렇게 나올수가 없으니까요.
엄마가 만들 수 있는 gamete는 무조건 AB ... 아빠가 만들수 있는 gamete는 무조건 ab ...
그러니까 나오는 individual은 무조건 AaBb 상태로 나올 수 밖에 없죠.
Crossing over 이라는 표현이 쓰이는 상황은 AaBb individual이 meiosis 과정에서,
resulting haploid cells가 AB, AB, ab, ab 종류만 나오는게 아니라
AB, Ab, aB, ab 식으로 homologous chromosomes 사이에 재조합되는 케이스에서만
crossing over가 일어났다고 설명해요.
조금 다르게 설명하자면,
crossing over is used to describe what happens to haploid gametes, not individuals.
어떤 특성은 엄마 닮고, 다른 특성은 아빠를 닮는 경우는
is because the offspring are diploid, based of fusion of haploid cells, one from each parent;
not because of crossing over, which describes what occurs in the creation of each haploid cell.
이해가 되나요?
열공하시고 또 질문이 생기면 게시판에서 만나요!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