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natural monopoly에서 ATC curve = MC curve로 그려지는 이유가 ATC curve가 FC가 높고 MC가 상대적으로 매우 낮아서 downward sloping curve로 그려지고 MC에 approach하는 형태로 그려지기 때문이라고 배웠습니다.
-> natural monopoly에서는 보통 ATC curve 아래 MC curve가 지납니다. ATC가 FC가 높아서 시작점이 높은것은 맞습니다.
일반적인 natural monopoly curve를 참고적으로 첨부할게요.
그런데 엄연히 MC와 ATC가 다른 곡선인데도 보통 시험 문제에서 MC curve = ATC curve라고 주는 이유를 잘 모르겠습니다. 문제 푸는 데 별 차이가 없어서 그런 것인가요?
-> 특수한 상황이긴 합니다만, MC가 거의 constant에 가까운 실제 상황들이 있습니다. 완전 딱 맞는 예시를 찾긴 힘들지만 그래도 가까운 예시를 찾자면, Microsoft같은 소프트웨어 회사에서 이미 기술개발에 많은 투자를 하여 제품을 개발한 후에 CD를 찍어내기만 하면 되는경우, Netflix에서 모든 스트리밍 서버를 설치한 후에 가입자만 더 받으면 되는 경우들이 있지요. 시험문제에서 이러한 assumption을 주었을때는. 현실적으로는 가능하기 힘들지라도 이론적으로 이러한 assumption을 가지고 문제를 풀도록 하기 때문에.. 문제가 준 그대로의assumption에 맞추어서 문제를 풀어야 하겠지요... ^^
그럼, 열공하세요!!!
^^